Today I Learned D - 53

손상훈·2022년 11월 15일
0

- HTTP 메소드가 무엇이 있는지 설명해주세요

GET - 리소스 조회
POST - 신규 리소스 등록
PUT - 쉽게 말해 데이터를 덮어쓴다.
PATCH - PUT과 마찬가지로 수정할 때 사용하지만 리소스를 일부만 변경가능
DELETE - 삭제

- AbstractBaseUser, AbstractUser, User 의 차이점을 설명해주세요.

- 상태코드에 대해 설명해주세요(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400번대, 500번대)

100번대(정보) - 요청을 받았고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한다.
200번대(성공) -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아서 인식했고 수용했다.
300번대(리다이렉션) - 요청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
400번대(클라이언트 오류) -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 처리 불가능하다.
500번대(서버 오류) -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한 충족을 실패했다.
HTTP 상태코드 종류와 의미

- RestAPI 쓰는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API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줄임말)
데이터와 기능의 집합을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서로 정보를 교환가능 하도록 하는 것.

RestAPI란?
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하는 것
RestAPI를 쓰면 주소와 메서드만 보고 요청의 내용을 알아볼 수 있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서버의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
RestAPI를 이용해 HTTP 통신을 사용하면 모두 같은 주소로 서버에 요청을 보낼 수 있다.
REST API 설명

< 쓰는 이유 >

애플리케이션 분리 및 통합’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등장’
최근의 서버 프로그램은 다양한 브라우저와 안드로이폰, 아이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통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멀티 플랫폼에 대한 지원을 위해 서비스 자원에 대한 아키텍처를 세우고 이용하는 방법을 모색한 결과, REST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REST 구성 3가지 : 자원 , 행위 , 메시지
자원(resource) : 접근할 대상, URI
행위(method,verb) : HTTP Method - GET(조회) , POST(생성) , PUT(수정), DELELTE(삭제)

  • 일반적으로는 GET, POST 방식을 사용하나, REST에서는 PUT, DELETE도 사용한다.
    메시지(표현) : Client가 자원의 상태(정보)에 대한 조작을 요청하면 Server는 이에 적절한 응답(Representation)을 보낸다.
    REST에서 하나의 자원은 JSON, XML, TEXT, RSS 등 여러 형태의 Representation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JSON 혹은 XML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URI란?

  • 네트워크 상 자원을 가리키는 일종의 고유 식별자(ID)인데 URI안에 URL,URN가 있고 URL은 자원의 위치, URN은 자원의 이름을 의미한다. (아래사진을 보면 이해금방됨.)

- API를 restful하게 쓰는 방법을 설명해주세요.

RESTful한 규칙
RESTful하게 라는 말은?
REST 원리를 잘 따르는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CRUD기능을 종류별로 잘 적고 route(url)
이에 앞서 RESTful하지 못한 경우

  • ex) CRUD기능을 모두 POST로만 처리하는 API
profile
< 코린이의 코딩모험기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