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위에 있는 Tools에서 FireBase 클릭 후 Authenticate using a custom authentication system 선택
Authenticate using a custom authentication system을 선택하는 이유 :
단순 로그인 화면 테스트용 이므로 Google이나 FaceBook 같은 이메일 이외에 없는 이메일을 사용하더라도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함
connect to firebase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에서 프로젝트 추가를 통해 DB 구축
참고로 Google 애널리스틱 사용 설정은 해제함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나면 마지막으로 연결을 눌러 1단계 완료함
프로젝트 설정 완료 후 프로젝트를 클릭 -> 다음과 같은 창에서 Authentication 선택 후 시작하기 누르기
로그인 제공업체에서 로그인 형식을 Email과 Password로 하기 위해서 Email/Password 선택 후 다음과 같이 설정 후 저장 누르기
FireBase 연결을 한 후 추가해야 할 basic 코드들을 자동으로 추가함
우측에 있는 Gradle에서 위에 무언가 실행하는 버튼처럼 생긴 Execute Gradle Task를 클릭한 후 작성하는 칸에 gradle signingReport 작성 후 엔터
실행하면 밑의 콘솔창에 SHA1항목이 서버 키에 해당 (복사하기)
다시 firebase의 왼쪽 상단의 프로젝트 개요를 클릭하여 안드로이드 모양에 com.example.~~ 의 설정을 클릭
맨 밑으로 내리면 디지털 지문 추가 글자 클릭 후 아까 복사했던 SHA1 키를 붙여넣음
실제 코드 짜는 건 버전이 달라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어려워서 다음 시간에..
참고자료 :
https://youtu.be/TStttJRAPhE
PK에 의해 테이블을 분할하는 방법(파티셔닝)
1. Range Partition : 대상 테이블이 날짜 또는 숫자값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각 영역별로 트랜잭션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2. List Partition : 지점, 사업소 등 핵심적인 코드값으로 PK가 구성되어 있고 대량의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의 경우
3. Hash Partition : 지정된 Hash 조건에 따라 해시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테이블이 분리
분산 DB 적용 기법
1. 테이블 위치 분산 : 설계된 테이블을 본사와 지사 단위로 분산
2. 테이블 분할 분산 : 각각의 테이블을 쪼개어 분산
- 수평분할 : low 단위로 분리
- 수직분할 : 칼럼 단위로 분리
3. 테이블 복제 분산 : 같은 테이블을 다른 지역이나 서버에서 동시에 생성하여 관리하는 유형
- 부분복제 : 마스터 DB에서 테이블의 일부 내용만 다른 지역이나 서버에 위치
- 광역복제 : 마스터 DB 테이블 전체 내용을 각 지역이나 서버에 존재
4. 테이블 요약 분산 : 지역 간에 또는 서버 간에 데이터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유형으로 존재하는 경우
- 분석 요약 : 같은 테이블 구조 + 분산되어있는 같은 내용의 데이터 -> 통합된 데이터를 산출
- 통합 요약 : 분산되어있는 다른 내용의 데이터 ->
통합된 데이터 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