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base에 react 호스팅하기 with firestore

Song-Minhyung·2022년 8월 18일
3

Firebase

목록 보기
1/1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

리액트와 파이어베이스를 연동할것이기 때문에 우선 리액트 프로젝트를 생성해준다.
CRA로 프로젝트를 생성할것이다!!

▶︎ npx create-react-app firebase --template=typescript

조금 기다리면 생성이 완료된다.

파이어베이스 프로젝트 설정

  1. 파이어베이스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2. 시작하기 -> 프로젝트 추가 버튼을 누른다.

  3. 프로젝트 이름을 원하는걸로 지정해준다. 나는 firebase라고 임의로 지었다.

  4. 프로젝트 생성이 성공적으로 끝났으면 좌측 메뉴의 빌드 -> firestore Database를 클릭한다.

  5.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클릭 -> 다음 -> asia-northeast3 선택후 사용설정

    asia-norteast3가 한국 리전이므로 속도가 제일 빠르다(참고링크)

파이어베이스 연동

  1. 우선 파이어베이스 프로젝트로 들어가 아래의 </> 모양인 웹 버튼을 누른다.
  2. 호스팅도 할거니 체크후 앱등록 클릭
  3. 그럼 이렇게 코드가 나온다. 이를 루트폴더에 firebase.ts 파일을 만들어 거기에 넣는다.
  4. 아래의 패키지를 설치한다.
▶︎ npm i firebase && npm i -g firebase-tools && npm -i -D @types/firebase
  1. firebase에 로그인한다.
▶︎ firebase login
  1. 로컬 프로젝트를 초기화한다.
▶︎ firebase ini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You're about to initialize a Firebase project in this directory:

  /Users/songminhyeong/Git/Study/react/firebase
  

잘 됐는지 확인

위의 내용을 commit후 생성한 레포지토리에 들어가 Action을 확인하면 자동으로 빌드, 배포중인걸 확인할 수 있다.

완료되면 이렇게 체크가 된다.

호스팅 주소는 파이어베이스 프로젝트 -> 빌드 -> 호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이렇게 자동으로 빌드후 배포하는게 답답하다면 수종으로 할수도 있다.

▶︎ npm run build
▶︎ firebase deploy

이 명령어 두줄로 빌드후 배포를 하면 된다.

두개중 하나의 방법으로 배포하면 서버에 올라간 리액트앱을 볼 수 있을것이다.
https://fir-7043d.web.app/

profile
기록하는 블로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