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브라우징?
웹페이지 제작 시에 어느 브라우저에서도 이상없이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전 브라우저 동작 원리 글에서 말한 렌더링 엔진에 따라 같은 페이지라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신경쓰지 않고 작업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을 수 있다.
- 작동되지 않는 HTML5, JS 코드가 존재
- 해석하지 못하는 CSS 코드가 존재
- 브라우저 버그들이 존재
- 브라우저마다 자체적인 CSS 스타일 존재
- IE를 버전마다 크로스 브라우징하는 이유
보통 브라우저는 최신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가 되지만 IE는 그렇지 않다.
IE는 사용자가 직접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하며, 윈도우 버전에 따라 최대 버전이 한정되어 있다.
대응 방법?
타켓층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라우저를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다. 현재 1.크롬(71.7%) 2.Edge(16.13%) 3.Whale(5.99%) 정도이다.(한국에서)
- css 초기화 작업 - 브라우저마다 다른 css 스타일을 모두 같게 초기화한다.
- 여러 외부 사이트를 이용해 사용할 기능에 대해 각 브라우저에 대한 호환성을 체크한다.
- 핵(Hack) - css에서 특수문자를 넣어서 다른 브라우저들은 인식하지 못하지만 특정 IE 버전에만 인식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유지보수의 어려움으로 인해 추천되지 않는 방법이다.
- IE용 주석을 이용하는 방법 - html 문서 내에서 주석을 이용하여 구별한다.
- 메타 태그를 이용하기 - <head>태그의 <meta>태그에 삽입해 원하는 모드로 랜더링하게 한다.
출처 : https://okayoon.tistory.com/entry/%ED%81%AC%EB%A1%9C%EC%8A%A4-%EB%B8%8C%EB%9D%BC%EC%9A%B0%EC%A7%95cross-brow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