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A, B 두 사람이 볼링을 치고있다. 두 사람은 서로 무게가 다른 볼링공을 고르려고 한다. 볼링공은 총 N개가 있으며 각 볼링공마다 무게가 적혀있고, 공의 번호는 1번부터 순서대로 부여된다. 또한 같은 무게의 공이 여러 개 있을 수 있지만, 서로 다른 공으로 간주한다. 볼링공의 무게는 1부터 M까지의 자연수 형태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N이 5이고 M이 3이며 각각의 무게가 차례대로 1, 3, 2, 3, 2일 때 각 공의 번호가 차례대로 1번부터 5번까지 부여된다. 이때 두 사람이 고를 수 있는 볼링공 번호의 조합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번, 2번), (1번, 3번), (1번, 4번), (1번, 5번), (2번, 3번), (2번, 5번), (3번, 4번), (4번, 5번)

결과적으로 두 사람이 공을 고르는 경우의 수는 8가지이다. N개의 공의 무게가 각각 주어질 때, 두 사람이 볼링공을 고르는 경우의 수를 구하라.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볼링공의 개수 N, 공의 최대 무게 M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각각 자연수 형태로 주어진다. (1 <= N <= 1000, 1 <= M <= 10)
  • 둘째 줄에 각 볼링공의 무게 K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순서대로 자연수 형태로 주어진다. (1 <= K <= M)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두 사람이 볼링공을 고르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

Test Case

// 입력 예시 1
5 3
1 3 2 3 2

// 출력 예시 1
8

// 입력 예시 2
8 5
1 5 4 3 2 4 5 2

// 출력 예시 2
25

접근

  • 두 사람이 서로 무게가 다른 볼링공을 골라야 한다.
  • 공의 번호가 문제에 언급되어 있지만, 중요한 정보는 아니다.
  • 오름차순으로 무게를 정렬한 뒤, 2중 for문을 돌며 서로 다른 값이면 카운팅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된다.
  • 이 방식은 O(N^2)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내 코드

n, m = map(int, input().split())
arr = list(map(int, input().split()))
arr.sort()

count = 0
for i in range(n-1):
	for j in range(i+1, n):
    	if arr[i] != arr[j]:
        	count += 1

print(count)

정답 코드

n, m = map(int, input().split())
data = list(map(int, input().split()))

# 1부터 10까지의 무게를 담을 수 있는 리스트
array = [0] * 11
for x in data:
	# 각 무게에 해당하는 볼링공의 개수 카운트
    array[x] += 1
result = 0
# 1부터 m까지의 각 무게에 대하여 처리
for i in range(1, m+1):
	n -= array[i] # 무게가 i인 볼링공의 개수(A가 선택할 수 있는 개수) 제외
    result += array[i] * n # B가 선택하는 경우의 수와 곱하기

print(result)

책에서 제시한 방법은 위와 같다. 루프 중첩을 피하고, 최대 무게 m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profile
블로그 이전 → https://ramos-log.tistory.com/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