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조와 종류를 간단하게 정리했다.
3티어 아키텍처에 대해 알아보고 로컬 환경에서 직접 서버를 구성해보자.
도커의 개념과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보통 단일 PC에서는 DB나 서버를 한 번에 하나씩만 올릴 수 있다. 하지만 도커를 사용하면 여러 개를 동시에 올릴 수 있는데, 그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도커는 기본적으로 단일 호스트 환경에서 동작한다. 만약 다중 호스트 환경에서 배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쿠버네티스는 잠시 나가있어...
도커로 올린 프로젝트를 도커스웜을 활용하여 다중 호스트 환경에서 배포해보자.
갑자기 우리 서비스가 인기 많아져서 지금 있는 서버로 감당이 안된다면? 서버 수를 자동으로 늘리고 줄여주는 Auto Scaling에 대해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