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렉션(Collection)
JAVA에서 자료구조를 표현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숨쉬듯이 사용하게 되는 부분이니 꼭 꼭 반복 학습해보면서 익혀보자!
자세한 내용은 민트색 글자를 눌러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컬렉션의 종류
- 리스트(List)
-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
- 데이터 중복 허용
-> ArrayList, LinkedList, Stack 등
- 셋(Set)
-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
- 데이터 중복 허용하지 않음
-> HashSet, TreeSet 등
- 맵(Map)
-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집합
- 순서는 유지되지 않음
- 키는 중복을 허용되지 않고 값은 중복을 허용
-> HashMap, TreeMap 등
- 스택(Stack)
- 마지막에 넣은 데이터를 먼저 꺼내는 자료구조
- LIFO(Last In First Out)
-> Stack, ArrayDeque 등
- 큐(Queue)
- 먼저 넣은 데이터를 먼저 꺼내는 자료구조
- FIFO(First In First Out)
-> Queue, ArrayDeque
- ArrayDeque
- 실무에서 많이 사용
- 기본 stack이나 queue의 기본 기능을 다 포함하면서도, 아까 얘기했던 pop, push, poll이 있고 성능이 더 좋다
이 모든것들이 collection 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implement) 하고 있다.
자료구조 전체를 통틀어서 컬렉션이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직접 자료구조를 만든다고 하더라도 컬렉션 인터페이스를 상속해서 만들 수도 있다.
컬렉션 프레임워크란?
-
데이터 하나 하나가 아니라, 다수의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자료구조를 표현하고 사용하는 클래스의 집합이다.
-
기본으로 구현되어있는 많은 함수들이 있어서 짧은 코드로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컬렉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