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는 Atlassian 를 통해 Jira를 사용하는데 나중에 혼자하려고하면 상당히 헷갈리는 부분이 있을 것 같아서 정리를 해보려고한다.
Github의 Issue 등록과 Milestones만 사용해왔는데 Jira를 처음 사용해봐서 처음에 굉장히 어색했다. 이슈를 만들때도 하나하나 담당자가 누구인지, 며칠까지 해야하는지 하나하나 선택해야해서 초반엔 경악했는데 지금은 굉장히 익숙하게 잘 쓰고 있다. 쓰면서 개인적으로 느낀 Jira의 사용 이유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0. 이슈 등록시 필요한 정보의 중요성
이슈 등록시 프로젝트, 상태(To Do, IN PROGRESS, DONE), 요약, 기한, 설명, 담당자, 레이블등을 선택이 가능해서 이슈를 한번 등록할 때 제대로 해두면 1.에서 다루겠지만 관리가 편해진다.


1. 이슈관리가 편하다

1-1. 이슈 담당자, 스케줄 관리에 용이
담당자중 한명을 클릭해서 그 담당자가 관리하는 Issue들과 할 일/진행 중/완료 된 Issue를 볼 수 있다. 이렇게 해놓으면 굳이 팀원에게 물어보지 않고도 그 팀원이 지금 무슨 Issue를 진행 중인지 확인이 가능하다.실제로 이 이슈들의 진행속도를 보고 선임이 지금 이부분 아직 해결이 안된 것 같은데 어떤 부분에서 헤매고있냐고 질문을 주시기도 했다!

1-2. 브랜치 연결
만약 형상관리 툴을 연결해 두었다면, 해당 이슈에서 바로 브랜치를 만들 수 있다.


Jira에서 상단 탭에서 프로젝트 > 프로젝트 만들기를 클릭한다.

칸반 클릭 후 템플릿 사용까지 클릭

나는 현재 해당 프로젝트만 참여하는 사람들끼리 설정-유지-관리까지 해줄 것이므로 팀에서 관리 를 선택해주었다.

프로젝트 이름과 이슈에 붙는 키를 적어준다.

여기서 이름은 정말 프로젝트 이름이 되는 것이고, 키는 이슈를 만들고 나면 SONG-1, SONG-2 이런식으로 키+이슈번호로 이슈에 번호가 등록된다.
Bitbucket(형상관리 툴)에 Repository 생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