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vc:annotation-driven> 는 내장된 메시지 컨버터를 통해 응답되는 내용이 json문자열로 컨버트 되게 한다.







요청속성 attr1의 값은 test 입니다.를 볼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다양한 매개변수를 쓰고 다양한 반환형을 쓰면서 유연하게 하려고하는 것이다.
다양한 경우의 수를 처리할 수 있게된다.


서블릿 컨텍스트 객체는 자동생성되는 객체고, 이 객체가 생성되어야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리퀘스트 객체는 요청할 때마다 생기는데 생성/소멸을 감지하는 것도 컨텍스트 리스너이다
세션 객체도 생성됨과 소멸됨을 감시하는 감시자가 있다.
감시자를 만드는 방법




서블릿컨텍스트 리스너를 상속받고 있다.

웹에 관련된 빈들도 관리돌 수 있는 Spring WebApplicationContext

ContextLoaderListener가 initWebApplicationContext() 메서드 호출, servletContext객체를 찾아오고, servletContext에 ..

요청과 응답에 관련된 xml파일에 CORS 설정 넣기.
ex) myServletContext.x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