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1)
// 하나의클래스에서 변수 선언과 출력(인쇄) 방식으로 코드 구현하기
public class Prac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과일1(사과) 프로그램으로 만들기
String name1 ="사과";
String color1 = "빨강";
String taste1 = "맛있다";
int price1 = 3000;
// 과일2(파인애플) 프로그램으로 만들기
String name2 ="파인애플";
String color2= "노란";
String taste2 = "상큼하다";
int price2 = 7000;
// 과일1인 사과 인쇄해보기 (콘솔확인)
System.out.println(name1);
System.out.println(color1);
System.out.println(taste1);
System.out.println(price1);
// 과일2인 파인애플 인쇄해보기 (콘솔확인)
System.out.println(name2);
System.out.println(color2);
System.out.println(taste2);
System.out.println(price2);
예제2)
// Class, 생성자, 인스턴스를 만들어 사용하기
package study;
class Fruit {
String name;
String color;
String taste;
int price;
public Fruit() {}
}
public class Prac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ruits fruit1 = new Fruits();
fruit.name = "사과";
fruit.color = "빨강";
fruit.taste = "맛있다";
Fruits fruit2 = new Fruits();
fruit1.name = "파인애플";
fruit1.color = "노란";
fruit1.taste = "상큼하다";
fruit1.price = 7000;
System.out.println(fruit1.name + "는 " + fruit1.color + "색이고, " + fruit1.taste + "\n" + "가격은" + fruit1.price);
System.out.println(fruit2.name + "는 " + fruit2.color + "색이고, " + fruit2.taste + "\n" + "가격은" + fruit2.price);
}
}
예제3) 클래스를 만들어 실습해보자!(사용해보자!)
fruit 예제 혹은 자동차/ 우리는 이제 차를 여러대 만들수 있습니다.
//Car 클래스 와 멤버변수, public으로 선언
package study;
public class Car {
public String model;
public String color;
public int price;
}
// Prac or Road클래스 (Main 실행 클래스)
public class Prac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r myCar = new Car();
myCar.model = "벤츠 지바겐";
myCar.color = "블랙";
myCar.price = 10000;
System.out.println(myCar.model);
System.out.println(myCar.color);
System.out.println(myCar.price);
System.out.println("내 차는 "+ myCar.model + myCar.color+"이고 "+ "가격은 "+ myCar.price+ "입니다.");
}
}
예제4) Prac.java
package com.sparta.study5.prac;
class Tv {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 실행할 땐 굳이 접근 제어자 선언 안해도된다. class를 따로 만들어 사용하면 선언해줘야한다.
String color;
boolean power; //on or off라는 두가지 선택지만 있으니까.
int channel;
// 메소드, 기능에 대한 메소드
// 메소드: 내가 명령을 내릴부분에 이름을 붙여놓음.
void power() {
power = ! power; // 전원이 켜져있으면 끄고, 꺼져있으면 켜라 라는 실행문
}
void channelUp() {
channel++;
}
void channelDown() {
channel--;
}
}
public class Prac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v t = new Tv();
t.channel = 7;
t.channelDown();
// System.out.println("t의 channel값은" + t.channel + "입니다.");
System.out.println("현재채널은" + t.channel + "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