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영구적 보관을 위해 쓴다
Java
서블릿(servlet)
- Controller: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서 흐름 제어
- 사용자의 요청이란 웹페이지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들
HTML
- hyper-text markup language
- hyper-text란 링크걸린거.
- 명령어들이 다 markup으로 되어있다.
- 태그: <명령어></명령어>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f716814c-84d8-4f6f-b0be-2bdcda6c4dd9/image.png)
- UI , 즉 결과출력
ajax(asyscronous javascript and xml)
jsp
- 클라이언트 언어: 처리가 클라이언트 단에서 컴파일 되면 클라이언트 언어
- 웹브라우저에서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번역해서 페이지에 뿌려준다.
- tomcat 같은거 필요없이 쓸 수 있다.
- 서버 언어: 처리가 서버단에서 컴파일 되면 서버 언어
- 웹브라우저에서 안하고 서버에서 처리되어 클라이언트로 넘어와서 실행이된다.
- 웹컨테이너단에서 함 tomcat
- 이렇게 tomcat을 install해야 쓸 수 있는것들이 대부분 서버언어들이다.
- 뷰페이지도 통일성있게 만들어주는게 좋다.
- json이나 xml로 받은 파일을 받아서 뿌려줄게 필요해
- 이때 dom이 필요하다
- 문서를 객체로 만드는 것이다.
- HTML 코드 하나하나를 객체로 만든다고 생각하면 된다 -> 화면 확확 바뀜.
- 그래서 화면이 확확 바뀔 수 있는것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c1f0440d-bb5d-40d7-9260-87adfab0b092/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1c6e7e62-ec5f-4013-bac6-bd8e00fcffd0/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2058b515-0b8e-4553-a7d4-5c7bad915c8e/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e25ac37d-5b28-4acf-9872-10711b9dac3d/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37fb912e-6b6c-4f6c-9a2f-53b40290561b/image.png)
여기에 자바소스파일넣기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e9dda10b-46bb-436b-866c-6284ba0365c0/image.png)
여기에는 html, css, javascript, ajax, jsp 같은거 넣기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79911032-d882-442d-987f-2f5f8b78cbe9/image.png)
.jar 파일 여기에 넣어준다.
웹에서 가장 중요한거,
request와 response!
웹의 동작은 요청-응답, 요청-응답의 연속이다
http: 요청에 응답을 한번 하면 연결이 끊어짐
https:
요청방식
- get
- url을 직접 주소창에 쳐서 접속하는거
- 링크를 누르는것도
- post
리눅스에는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ea996fa0-9be6-4edd-a03d-8bcb9c2da9c0/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songunnie/post/938a34bf-c638-42b8-a200-e6537a8aee50/image.png)
웹 절대경로는 /프로젝트이름 부터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