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grip에서 Supabase Project 연결하기

SongWoo Yu·2025년 3월 18일
0

Supabase

목록 보기
1/7

Jetbrains의 Datagrip을 통해 Supabase의 Project를 관리해보려고 한다. 그렇기 위해서는 Datagrip IDE와 Supabase를 연결해야 한다. Supabase를 소스와 연결하는 것은 이전의 포스팅을 통해서 전달했다. 이번에는 Database API Setting에서 찾는 것이 아닌, 윗쪽의 Connect 버튼을 눌러야 한다.

그리고 Database Setting아래 관련된 안내가 나온다. 또한 Database Password는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만들었다고 하는데, 기억이 안 난다면 아래 리셋 버튼을 눌러서 새로 만들어주면 된다.

일단 connect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Connect to your project에서 connection String부분을 보면 된다. 내부에 Direct connection, Transaction pooler, Session pooler 세 종류가 있다. Direct는 지속적이고 오래동안 유지하는 연결로 유료 버전에서는 IPv4를 제공하지만, 무료버전은 적용되지 않는다. Transction은 짧고 독립적인 연결로 서버리스 환경에서 적합하기에 우리는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Session Pooler은 Direct의 대안으로 지속적인 연결은 제공하지만 연결 풀링을 통해 리소스를 관리하므로 제약이 있다고 한다. 난 무료 버전을 사용중이기에 Direct를 사용하지 못하여 Session pooler을 사용할 것이다.

이를 열어보면 host, port, database, user, pool_mode 내용을 제공해주는데 Datagrip에서 name, host, port, user, password를 입력하고 test connection을 눌러주면 된다. 그리고 문제가 없다면 ok를 눌러준다. 다만 이때 계속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국어로 password를 작성하면 쫑난다. 그러므로 영어로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작성하여야 한다.
그렇게 되면 내가 추가한 supabase 프로젝트가 이렇게 왼쪽 화면에 올라오게 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