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 때 해야하는 작업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앞서 상당한 repository를 만들어봤지만, 세부적인 내용들은 살펴보지 않았다. 오늘은 이러한 부분에 대해 파고들어볼 생각이다.
먼저 레파지토리를 만들 때 import a repository하는 방법이 있다고 알려준다. 나의 계정이 아니거나 다른 곳에 repository를 사용하려는 경우 import하여 가져올 수 있는 기느이다.
다음은 repository template이다. 전에 repository를 fork하는 법을 정리하다가 template라서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었다고 했다. template은 기존의 repository를 템플릿으로 만들어 자신과 타인이 동일한 디렉토리 구조와 분기, 파일을 사용하여 새 repository로 만들어주는 서비스이다. 여기서는 템플릿을 가져와 사용할 것인지를 물어보고 있다.
그리고 이 repository의 Owner와 이름을 적어주면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설명도 옵션으로 넣을 수 있다. 그리고 공개인지 비공개인지 설정해주고 readme file을 만들지도 선택해줄 수 있다. 리드미파일은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이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줄글로 담아놓을 수 있다. 그리고 gitignore과 license 정보도 담을 수 있는다
README file은 나의 repository에 대하여 필요성, 사용법 등을 설명(소개)하는 역할을 한다. .gitignore은 root directory에 파일을 생성하여 커밋할 때 무시할 파일과 디렉토리를 git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제 code를 복사하고 내 터미널에서 git clone (code)를 입력하여 클론해주면 생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