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Quasar이라는 Vue.js 기반의 Framework를 혼자 정리해봤다. 원래는 Quasar과 Vue.js를 좀 공부해보고 이사님께서 만들어두신 Andriod 개발용 파일까지 분석해보려 했지만, 내가 해야 할 과제를 정리하느라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지체가 되어 그렇게까진 하지 못했다.
어제 Quasar에 대하여 배우기로는 Cross-Platform이라고 하셨다. 과거에는 앱 개발 시 네이티브 앱이라고 하여 안드로이드는 Android Studio에서 안드로이드 SDK(JAVA)를 이용하고, IOS는 X-Code를 통하여 ios기반 SDK(Swift)로 개발했고 지금도 그렇다고 한다. 그러나 Cross-platform은 두 플랫폼과 심지어 웹까지도 하나의 개발 방식으로 동시에 개발하는 방식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는 React Native나 Flutter, Xamarin, lonic등이 있다.
이렇듯 Quasar을 이용하면 다양한 플랫폼(웹, 모바일, 데스크탑)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아까도 말했듯 Quasar는 Vue.js 기반으로 작성된 프레임워크로 JavaScript와 그 프레임워크들과의 호환성이 좋으며,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와 CLI를 통해 개발에 들어가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Vue.js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는 상당한 시간이 든다는 점과 React나 Flutter보다 적게 사용되어 커뮤니티가 작다는 점이 단점이라고도 한다.
Quasar을 이용하여 앱을 개발하기 전에 내가 무엇을 더 준비해야 할지는 이미 이사님께서 꽤나 자세하게 알려주셨다. 그러나 내가 알고 있는 것이 과도하게 없어서, 잘 알아들었는지는 모르겠다. 먼저 저번 포스팅에도 써놨지만 내가 하려는 것을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내가 해야할 것을 정리해봤다. 이는 Sparx EA라는 UML과 Figma를 통해 점차 구체화해나가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당연히 그 튤 사용법도 제대로 익혀야겠고.
다음으로는 Quasar의 개발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 퀘이사의 기반이 되는 Veu.js와 기본적인 JavaScript, CSS, HTML의 구조와 관계또한 코드를 보고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사님께서는 Quasar가 제공하는 Website에 나와있는 것을 잘 참고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이곳에는 퀘이사에 대한 전반적인 장점과 사용법, 튤 등이 정리되어 있다. 그러나 다 영어라 정보를 파악하는데에는 꽤 많은 시간이 걸렸고, 아직도 걸리고 있다. 당연하지만 개발일을 하기 위해선 영어를 잘 구사해야 한다. 정보의 질이 다르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정리가 되었다면, 이사님께서 Quasar로 만드신 Android 개발환경 코드를 분석하고 그 경로를 탐색해봐야 한다. 그러나.. 아직 거기까진 가지 못했다. 시간을 더 잘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 많은 것들이 서툴러 이해하는 데에도, 뭔가 정리하고 실행하는 데에도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