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연산자

송연지·2024년 4월 9일
0

JavaScript 연산자

JavaScript 연산자는 변수와 값에 대해 연산을 수행합니다. 연산자는 크게 할당, 비교, 산술, 논리, 조건(삼항) 등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할당 연산자

할당 연산자는 값 또는 표현식의 결과를 변수에 할당하는 데 사용됩니다.

연산자설명예시
=값을 할당합니다.x = 5
+=값을 더한 후 할당합니다.x += 5
-=값을 뺀 후 할당합니다.x -= 5
*=값을 곱한 후 할당합니다.x *= 5
/=값을 나눈 후 할당합니다.x /= 5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두 값이나 표현식을 비교하여 true 또는 false 값을 반환합니다.

연산자설명예시
==동등 비교. 타입 변환 후 값이 같으면 true 반환.5 == "5"
===일치 비교. 값과 타입이 모두 같으면 true 반환.5 === "5"
!=불일치 비교. 값이 다르면 true 반환.5 != "5"
!==엄격한 불일치 비교. 값 또는 타입이 다르면 true 반환.5 !== "5"
>크다.5 > 3
<작다.5 < 3
>=크거나 같다.5 >= 5
<=작거나 같다.5 <= 5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수학적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환합니다.

연산자설명예시
+더하기5 + 2
-빼기5 - 2
*곱하기5 * 2
/나누기5 / 2
%나머지5 % 2
++증가 연산자x++
--감소 연산자x--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불리언 값들 사이의 논리적 연산을 수행합니다.

연산자설명예시
&&논리적 AND. 모든 피연산자가 true이면 true 반환.true && false
\|\|논리적 OR. 피연산자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 반환.true \|\| false
!논리적 NOT. 피연산자의 불리언 값을 반전.!true

조건(삼항) 연산자

조건 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에 따라 두 값 중 하나를 반환합니다.

예시설명
조건 ? 값1 : 값2조건이 true이면 값1을, 그렇지 않으면 값2를 반환합니다.

예시

const age = 18;
const canVote = age >= 18 ? 'Yes' : 'No';
console.log(canVote); // Yes

JavaScript에서 ==와 ===의 차이

JavaScript에서 == (동등 연산자)와 === (일치 연산자)는 모두 값의 동등성을 비교할 때 사용되지만, 비교를 수행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 (동등 연산자)

  • == 연산자는 두 값이 동등한지 비교할 때, 타입 변환을 허용합니다.
  • 즉, 두 값의 타입이 다르더라도 타입 변환을 통해 두 값이 동등한지 비교합니다.
  • 예시:
  console.log(0 == false);   // true, 타입 변환으로 두 값은 동등하다고 평가됩니다.
  console.log(1 == "1");     // true, 문자열 "1"은 숫자 1로 변환됩니다.
  console.log(null == undefined); // true, null과 undefined는 동등하다고 평가됩니다.

=== (일치 연산자)

  • === 연산자는 두 값이 일치하는지 비교할 때, 타입 변환 없이 비교합니다.
  • 두 값의 타입과 값이 모두 같은 경우에만 true를 반환합니다.
  • 예시:
console.log(0 === false);   // false, 타입이 다릅니다.
console.log(1 === "1");     // false, 하나는 숫자이고 다른 하나는 문자열입니다.
console.log(null === undefined); // false, null과 undefined는 타입이 다릅니다.

결론

== (동등 연산자)는 타입 변환을 수행하여 두 값이 동등한지 비교합니다.
=== (일치 연산자)는 타입 변환 없이 두 값의 타입과 값을 모두 비교합니다.

일반적으로 예상치 못한 타입 변환으로 인한 버그를 피하기 위해, === (일치 연산자) 사용을 권장합니다.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쟈!!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