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특기 프로젝트 23/09/15

song yuheon·2023년 9월 15일
0

Project

목록 보기
1/31
post-thumbnail

1. 프로젝트 초기 설정 (즉시 시작)

  • 팀 구성원과 통신하여 프로젝트의 범위와 주요 목표를 설정한다.
  • 팀 내의 역할 분배와 마감 기한 설정을 한다.

2. S.A. (시작 과제) 제작 (9/15 금요일 19:00까지)

2.1 주제 선정

  • 서비스의 주요 기능 및 개발 범위를 논의하여 결정한다.

2.2 와이어프레임 제작

  • 피그마(Figma) 활용을 고려한다.
  • 와이어프레임은 주어진 예시들을 참고하여 제작한다.

2.3 API 설계

  • API 설계를 완료하고 이를 문서화한다.

2.4 2주 진행 계획

  • 두 주 동안의 작업 계획을 작성한다.

2.5 노션에 게시

  • 완성된 S.A.를 노션에 게시하고, 주특기 프로젝트 대시보드에 링크를 공유한다.

3. 서면 피드백 확인 (9/16 토요일 21:00까지)

  • 제출한 S.A.에 대한 피드백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4. 멘토링 참여

  • 팀별 프로젝트 멘토링에 참여하여 지도를 받는다. (9/18, 9/21, 9/23, 9/25에 예정)

5. 개발 과정 (9/17~9/27)

  • 개발은 기획된 Scope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추가 기능은 기본 기능 완성 후 고려한다.
  • 팀 내 소통과 협업에 중점을 둔다.

6. 프로젝트 완성본 제출 (9/27 수요일 19:00까지)

6.1 제출 자료 준비

  • 완성작 시연 영상을 YouTube에 업로드하고 URL을 준비한다.
  • 배포 도메인 주소를 준비한다.
  • GitHub에 프로젝트 코드를 업로드하고 링크를 준비한다.

6.2 제출

  • 모든 준비물을 제출 링크에 업로드한다.

7. 프로젝트 회고 발표 (9/27 수요일 저녁)

7.1 발표 자료 준비

  • 프로젝트 소개와 시연을 위한 자료를 준비한다.
  • 개발 경험과 배운 점, 트러블슈팅 내용을 정리한다.

7.2 발표

  • 발표 시간은 총 5분, 피드백 시간은 15분으로 구성된다.
  • 팀에서 한 명을 발표자로 선정하여 발표를 진행한다.

[참고 자료]

  • 프로젝트 가이드라인 및 협업 꿀팁을 참고한다.
  • 와이어프레임 작성 시 피그마 등의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추천]

  • 팀원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유지하며 협업을 진행한다.
  • 프로젝트 scope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만든다.

기능 구현

1. 회원 가입 & 로그인 기능 & 회원 탈퇴기능

2. 야구 경기 정보 추출 OpenApi + ( OpenAPI)

3. 추가로 댓글 및 대댓글 서비스(저장)

  1. 실시간적으로 채팅 기능 구현 ( 특정 시간 동안만 보여주는 기능 )

4. 야구 경기 일정 서비스 제공 ( 달력 )

5. 각자 원하는 경기를 선택하면 해당 경기에 대한 일정 필터링해서 제공

  1. AI 예측 정보 게시판 형태로 제공 ( 머신러닝 )
profile
backend_Dev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