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주요내용과 간접적으로만 연관된 부분을 나타냄
주로 사이드바 혹은 콜아웃 박스로 표현함
가능한 부모 요소
<aside>요소는 <address>의 후손이 될 수 없음암시적 aria
가능한 aria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단계에서부터 모바일 중심으로 구축하는 것
모바일은 먼저 구축한 후 데스크톱이나 타 기기를 위해서는 그에 맞는 반응형/적응형 웹을 제공하는 방식
왜 모바일 퍼스트 디자인인가?
데스크탑 화면이 중요하거나 기존에 개발되어 있던 데스크탑 화면의 CSS에 모바일 화면에 대한 추가개발을 할 경우 많이 사용함
@media screen and (max-width: 480px) {
body {
font-size: 12px;
}
}
@media print {
body { font-size: 10pt; }
}
@media screen {
body { font-size: 13px; }
}
@media screen, print {
body { line-height: 1.2; }
}
@media only screen
and (min-width: 320px)
and (max-width: 480px)
and (resolution: 150dpi) {
body { line-height: 1.4; }
}
해상도 기준 타겟팅은
min-resolution,max-resolution
해상도가 300dpi 이상일 때의 규칙
@media only screen and (min-resolution: 300dpi) {
}
@media only screen and (min-width: 480px), (orientation: landscape) {
}
케바케이지만 일단 대표격 중단점
<= 480px<= 768px<= 1024px<= 1600px> 1600px<picture>태그
<picture>태그는<img>요소의 다중 이미지 리소스(multiple image resources)를 위한 컨테이너를 정의할 때 사용함
viewport의 너비에 다라 커지거나 작아지는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대신 다른 기기의 뷰포트에 알맞게 채워지도록 여러개의 이미지 중 적절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웹 개발자가 이미지의 리소스를 보다 유연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기에, 반응형디자인에서 주로 사용함
반응형할때 picture말고 안에 img에 클래스를 줘라
<picture>태그는 0개이상의 <source>태그와 하나의 <img>태그로 구성됨
브라우저는 <source>태그 중 해당 뷰포트와 가장 잘 어울리는 <source>태그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선택함
<source>태그들의 속성값을 각각 확인해 나가며 조건을 만족하는 첮번째 <source>태그를 사용하고 나머지 <source>요소들은 무시함<img>태그는 <picture>태그의 자식 요소 중 가장 마지막에 위치해야함<img>태그는 <picture>태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를 위한 하위 호환성을 위해 사용되거나 명시된 <source>태그가 모두 조건을 마족하지 못할 경우 사용됨<picture>
<source media="(min-width: 700px)" srcset="/examples/images/people_960.jpg">
<source media="(min-width: 400px)" srcset="/examples/images/people_575.jpg">
<img src="/examples/images/people_200.jpg" alt="People">
</picture>
srcset속성은 이미지 소스의 세트라는 의미
src사용srcset속성은 브라우저에 이미지 선택권을 위임하는 속성
xorw
x이미지의 비율 의도
w이미지의 원본 크기(가로너비)를 의미
400 x 300px크기 이미지의w값은400w
브라우저는 지정된w디스크립터를 통해 각 이미지의 최적화된 픽셀 밀도를 계산함
<img
srcset="images/heropy_small.png 400w,
images/heropy_medium.png 700w,
images/heropy_large.png 1000w"
src="images/heropy.png"
alt="HEROPY" />
heropy_small.png(400px)이 사용됨heropy_medium.png(700px)이 사용됨heropy_large.png(1000px)이 사용됨<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태그X-UA-Compatible가 지정된 <meta>태그를 사용하여 어떤 렌더링 엔진을 사용할 것인지 전달할 수 있음<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웹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상단 탭에 보여지는 아이콘을 일컫는 것
<link rel="shortcut icon" href="http://www.yoursite.com/favicon.ico?v=2">
<link rel="icon" sizes="16x16 32x32" href="/favicon.ico?v=2">
favicon.ico파일은 16컬러 24비트 알파 투명도 포맷의 16x16 아이콘 파일| 크기 | 용도 |
|---|---|
| 16x16 | IE9 주소 표시줄, 고정된 사이트의 점프목록/툴바/오버레이 |
| 24x24 | IE9 고정된 사이트 브라우저 UI |
| 32x32 | IE의 새로운 탭 페이지, 윈도우7 이상에서 작업 표시줄 단추, Safari 나중에 읽기 사이드바 |
| 48x48 | 윈도우즈 사이트 아이콘 |
| 64x64 | 윈도우즈 사이트 아이콘, HiDPI/Retina에서 Safari 나중에 읽기 사이드바 |
pop하고 생성되는 새 창을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