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2 스위치 factory default ⇒ LAG 설정이 사라진다.
그 결과, BB#1(VRRP master)가 보내는 VRRP advertisement packet이
BB#1 → SW#1→ CC#2 → SW#2 로 플러딩하는 문제가 생긴다.
BB#1 → BB#2
BB#1 → SW#1 → SW#2
BB#1 → SW#1 → CC#1
BB#1 → SW#1 → CC#2 로 플러딩하여 각 스위치에 advertisement 된다.
SW#2에서 Fdb Table 확인 시, vmac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BB#2로 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INTERFACE : Port-1/46 (BB#2로 향하는 인터페이스)
1) BB#1 → SW#1 → CC#2 → SW#2 로 VRRP advertisement packet이 플러딩될 때
SW#2에서 Fdb Table 확인 시, vmac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CC#2로 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ping failure)
INTERFACE : c92:MLT-41 (CC#2로 향하는 MLT(SMLT) 인터페이스)
2) BB#1 → SW#1 → SW#2 로 VRRP advertisement packet이 플러딩될 때
SW#2에서 Fdb Table 확인 시, vmac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BB#2로 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ping success)
INTERFACE : Port-1/46 (BB#2로 향하는 인터페이스)
따라서, SW#2의 Fdb Tabl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VRRP virtual mac address에 대해 flapping이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해 정상 스위치에서 백본 VRRP ip로 ping을 했을 때, 간헐적으로 fail한다.
이슈원인
- 초기화로 인해 CC#2에서 LAG 설정이 사라지면서 CC#2에서 SW#2로 향하는 인터페이스로 플러딩 발생
- SW#2에서 Mac Flapping 발생
권고사항
- LACP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