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z - 브라우저 Event, Lazy Initialization

이소라·2023년 6월 30일
0

Interview Questions

목록 보기
48/67

1.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은 이벤트,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해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브라우저 이벤트 발생 과정)

  • 브라우저가 사용자의 액션을 감지하여 이벤트가 발생시킵니다.
  • 이벤트가 발생하면 브라우저는 이벤트 객체를 만듭니다.
  • 이벤트 객체에 이벤트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넣은 다음, 해당 이벤트 핸들러에 이벤트 객체를 인수 형태로 전달합니다.
  • 이벤트 핸들러를 호출하여 이벤트 핸들러의 콜백 함수가 실행됩니다.

1.1 이벤트 드리븐 프로그래밍이 무엇인가요?

  • 이벤트 드리븐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이벤트 중심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을 말합니다.



2. 이벤트 핸들러를 직접 실행하지 않고 브라우저에게 위임하는 이유는?

  • 개발자가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 시점을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브라우저에게 이벤트 핸들러의 호출을 위임합니다.
  • 브라우저는 사용자의 액션을 감지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해당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핸들러를 호출합니다.



3. React 의 useState의 초기값으로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초기값을 넘겨주려고 할 때 어떻게 최적화를 할 수 있는가?

  • useState에 값 대신에 함수를 넘겨서 지연 초기화를 합니다.
    • useState에 넘겨진 초기화 함수는 첫 렌더링 때만 실행됩니다.

3.1 지연 초기화는 주로 언제 사용되나요?

  • localStorage의 접근이나 map, filter, find 등 배열을 조작할 때, 함수를 통해서 값을 구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참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