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스케줄러는 프로세스가 생성된 후 종료될 때까지 모든 상태 변화를 조정하는 일을 하며,
CPU 스케줄링(CPU scheduling) 은 CPU 스케줄러가 하는 모든 작업을 가리킨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들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CPU 자원을 배분하기 위해
CPU 스케줄링(CPU scheduling)을 수행한다.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 (I/O bound process)
- 입출력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
- 대표적으로 비디오 재생이나 디스크 백업 작업 등을 담당하는 프로세스
CPU 집중 프로세스 (CPU bound process)
- CPU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
- 대표적으로 복잡한 수학연산, 컴파일, 그래픽 처리 작업 등을 담당하는 프로세스
✔️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와 CPU 집중 프로세스가 동시에 CPU 자원을 요구할 경우 ?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를 먼저 실행하여 입출력 장치를 끊임없이 작동시키고
해당 프로세스가 입출력 작업을 하며 대기 상태로 존재하는 동안
CPU 집중 프로세스에 CPU를 집중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일반적으로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다.
장기 스케줄러(Long-term scheduler) : 어떤 프로세스를 준비 큐에 넣을 것인지 결정
중기 스케줄러(Medium-term scheduler, Swapper) :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세스 수 관리하여 과부하 예방
단기 스케줄러(Short-term scheduler, CPU scheduler) : 메모리 내의 준비 상태에 있는 작업 중 실행할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CPU를 할당, 타임 슬라이스 등을 지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기능을 담당
공평성 : 모든 프로세스가 자원을 공평하게 배정받아야 하며, 자원 배정 과정에서 특정 프로세스가 배제되면 안된다.
효율성 : 시스템 자원이 유휴 시간 없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을 하고, 유휴 자원을 사용하려는 프로세스에는 우선권을 주어야 한다.
안정성 : 우선순위를 사용하여 중요 프로세스가 먼저 작동하도록 배정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을 점유하거나 파괴하려는 프로세스로부터 자원을 보호해야 한다.
확장성 : 프로세스가 증가해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시스템 자원이 늘어나는 경우 이 혜택이 시스템에 반영되게 해야 한다.
반응 시간 보장 :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시스템이 멈춘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적절한 시간 안에 프로세스의 요구에 반응해야 한다.
무한 연기 방지 : 특정 프로세스의 작업이 무한히 연기되어서는 안된다.
CPU 사용률 : 전체 시스템의 동작 시간 중 CPU가 사용된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처리량 : 단위 시간당 작업을 마친 프로세스의 수
대기 시간 : 작업을 요청한 프로세스가 작업을 시작하기 전까지 대기하는 시간
응답 시간 : 프로세스 시작 후 첫번째 출력 또는 반응이 나올 때까지 걸리는 시간
반환 시간 : 프로세스가 생성된 후 종료되어 사용하던 자원을 모두 반환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아 실행 중이더라도
운영체제가 CPU를 강제로 빼앗아 다른 프로세스에게 할당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식
타이머 인터럽트에 따라 CPU 자원을 뻇어 다음 프로세스에게 전달하는 것도 여기에 포함되며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차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장점
- 프로세스들에게 골고루 자원을 배분할 수 있음
- 프로세스가 CPU를 독점할 수 없어 대화형이나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
단점
- 문맥 교환 과정에서 오버헤드 발생
ex) 라운드 로빈(RR), 최소 잔류 시간 우선 스케줄링(SRT), 다단계 큐 ..
하나의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면 다른 프로세스가 이를 빼앗을 수 없는 스케줄링 방식
장점
- CPU 스케줄러의 작업량이 적고 문맥 교환의 오버헤드가 적음
단점
- 프로세스가 자원을 골고루 사용 불가
- 기다리는 프로세스가 많아 처리율이 떨어짐
ex) 선입 선처리 스케줄링(FCFS), 최단 작업 우선 스케줄링(SJF), 우선순위 스케줄링, HRN ..
준비 큐에 도착한 순서대로 CPU를 할당하는 비선점형 방식
💡 콘보이 효과
처리시간이 긴 프로세스가 CPU를 차지하면 다른 프로세스들은 하염없이 기다리게 된다.
준비 큐에 있는 프로세스 중에서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부터 CPU를 할당하는 비선점형 방식
CPU를 할당받을 프로세스를 선택할 때 남아있는 작업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부터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선점형 방식
→ SJF(최단 작업 우선 스케줄링) + RR(라운드 로빈 스케줄링)
프로세스들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부터 실행하는 선점/비선점 방식
💡 기아 현상 (starvation)
실행시간이 짧은 프로세스가 계속 들어오면 실행시간이 긴 프로세스는 계속 뒤로 밀려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의 작업이 무한 연기되는 현상
💡 에이징 (aging)
어떤 자원을 오래 대기할수록 해당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높여주는 방법
여러 프로세스들을 할당된 시간 (타임 슬라이스) 만큼 돌아가면서 실행하는 선점형 방식
우선순위에 따라 준비 큐를 여러개 사용하는 비선점형 방식
변동 우선순위 알고리즘의 전형적인 예로 CPU를 사용하고 난 프로세스가 원래의 큐로 되돌아가지 않고 우선순위가 하나 낮은 큐의 끝으로 들어가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