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란?
: 서버 /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 위에서 동작
암호화 안된 평문 데이터를 전송 -> "보안에 취약"
HTTPS 란?
: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HTTPS는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를 모두 사용하여
"빠른 연산 속도와 안정성"을 모두 얻고 있다.
대칭키 암호화 시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키를 사용
- 키 노출되면 매우 위험하지만 연산 속도가 빠름
비대칭키 암호화 시
- 1개의 쌍으로 사용
- 키 노출되어도 비교적 안전하지만 연산 속도가 느림
키 사용 시점
- 처음 연결을 성립하여 안전하게 세션키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비대칭키가 사용되는 것이고, 이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빠른 연산 속도를 위해 대칭키가 사용되는 것이다.
실제 HTTPS 연결 과정이 성립되는 흐름
-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서버로 최초 연결 시도를 함
- 서버는 공개키(엄밀히는 인증서)를 브라우저에게 넘겨줌
- 브라우저는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세션키를 발급함
- 브라우저는 세션키를 보관하며 추가로 서버의 공개키로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함
- 서버는 개인키로 암호화된 세션키를 복호화하여 세션키를 얻음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동일한 세션키를 공유하므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세션키로 암호화/복호화를 진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