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메서드(Method)

습토리·2025년 2월 25일
0

Java

목록 보기
23/32

자바 메서드(Method) 이해하기

1. 메서드란 무엇인가?

메서드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입니다. 여러 개의 명령문을 하나로 묶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기능 단위이며, 함수(Function)라고도 부릅니다. 자바에서 메서드는 반드시 클래스 내부에 존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커피를 마시는 과정을 메서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oid drinkCoffee() {
    System.out.println("Prepare a cup");
    System.out.println("Pour coffee into the cup");
    System.out.println("Drink the coffee from the cup");
}

위와 같이 특정 작업을 하나의 메서드로 정의하면, 필요할 때마다 메서드를 호출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메서드가 필요한 이유

1)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음

  •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할 때 메서드를 사용하면 중복된 코드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유지보수가 쉬워짐

  • 특정 기능을 메서드로 분리하면, 나중에 수정할 때도 해당 부분만 변경하면 됩니다.

3)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짐

  • 긴 코드가 아닌 기능 단위로 분리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은 코드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Addition functionality
        int a = 10;
        int b = 2;
        int result = a + b;
        System.out.println("Addition result: " + result);

        // Subtraction functionality
        int c = 2;
        int d = 1;
        int result2 = c - d;
        System.out.println("Subtraction result: " + result2);
    }
}

위 코드에서 만약 더하기 기능을 여러 번 사용해야 한다면, 같은 코드를 반복해서 작성해야 합니다. 하지만 메서드를 사용하면 이렇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Calculator {
    int sum(int value1, int value2) {
        return value1 + value2;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lculator calculator = new Calculator();
        int result = calculator.sum(10, 2);
        System.out.println("Addition result: " + result);
    }
}

3. 메서드의 기본 구조

메서드는 선언부호출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메서드 선언부 (메서드가 정의된 곳)

returnType methodName(parameter1, parameter2, ...) {
    // Task execution
    return returnValue;
}

✅ 메서드 호출부 (메서드를 사용하는 곳)

objectName.methodName(argument1, argument2, ...);

예제: 더하기 기능을 메서드로 작성하기

Calculator.java 메서드 선언부

public class Calculator {
    int sum(int value1, int value2) {
        return value1 + value2;
    }
}

Main.java 메서드 호출부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lculator calculator = new Calculator();
        int result = calculator.sum(1, 2);
        System.out.println("Result: " + result);
    }
}

4. 메서드의 주요 개념

✅ 매개변수(Parameter)

  • 메서드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받는 변수입니다.
  • 여러 개의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쉼표(,)로 구분합니다.
int sum(int a, int b) {
    return a + b;
}

✅ 반환 값(Return Value)

  • 메서드가 실행한 결과를 반환할 때 사용됩니다.
  •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값을 반환합니다.
  • 반환할 값이 없는 경우 void를 사용합니다.
void printMessage() {
    System.out.println("Hello, Java!");
}
int sum(int a, int b) {
    return a + b;
}

✅ 반환 자료형(Return Type)

  • 반환되는 데이터의 자료형을 명시해야 합니다.
  • 반환 값이 있을 경우 → int, String, double 등 반환 자료형을 선언
  • 반환 값이 없을 경우 → void를 사용
// No return value (void used)
void printHello() {
    System.out.println("Hello!");
}
// Returning an integer value
int getNumber() {
    return 10;
}

5. 실습: 메서드 작성 및 호출

1️⃣ Calculator 클래스 만들기

public class Calculator {
}

2️⃣ 더하기 메서드 작성하기

public class Calculator {
    int sum(int value1, int value2) {
        int result = value1 + value2;
        return result;
    }
}

3️⃣ Main 클래스에서 Calculator 객체화 및 메서드 호출하기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lculator calculator = new Calculator();
        int result = calculator.sum(1, 2);
        System.out.println("Result: " + result);
    }
}

6. 정리

  • 메서드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이다.
  •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쉽게 만든다.
  • 메서드는 반드시 클래스 내부에 존재해야 한다.
  • returnType, methodName, parameters, task execution, return value로 구성된다.
  • void는 반환값이 없을 때 사용한다.
profile
재미난 삶을 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