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2

woo·2023년 3월 29일
0

컴퓨터 네트워크

목록 보기
6/7
post-thumbnail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

NAT를 이용해 IP를 재사용하여 IP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여러 대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고 NAT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사설 IP 주소는 외부에 드러나는 주소와 다르게 유지한다.

  • IP = 인터페이스 주소
  • 공인 IP : 통신사 SK,KT,LG등을 통해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망
  • 사설 IP : 인터넷 공유기에 연결되어있는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부에 할당된 네트워크의 IP


IP mapping 이미지
-> IP를 내부에서 외부로 드러낼때는 IP를 변환해야한다.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DHCP)

IP, mask, rotuer, DNS :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하는 정보들
-> 필수적인 정보들로 사용자가 적은 것이 아니라 DHCP가 적은 것

고정 IP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DHCP로부터 매번 새로운 IP를 할당받아야함


-> 클라이언트가 모든 서브넷에게 요청을 하면 DHCP가 클라이언트의 응답에 반응하여 offer를 보낸다. 클라이언트가 offer를 수락하려면 request를 보낸다. 이에 응답으로 DHCP는 ACK를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할당받은 정보들을 사용하게 된다.

게이트웨이라우터(GWR)에 NS(DNS), DHCP, NAT, firewall가 위치한다.

IP fragmentation

IP fragmentation을 하기 위해서는 IP datagram format의 header에 위치한 indetifier, flgs, offset가 필요하다.


-> MTU를 넘어가면 분리해서 전송함


-> id는 datagrame 나누기 전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fragflag는 내 뒤에 또 fragment가 있으면 1, 없으면 0. offset은 datagrame을 3개로 분리했을때 나의 위치 정보

ICMP 프로토콜

네트워크 상에서 control message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 (사용자 데이터 메시지 x)

IPv6


profile
🌱 매일 성장하는 개발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