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 1. Elasticsearch 와 루씬

mallin·2022년 2월 19일
5

ElasticSearch

목록 보기
1/9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루씬(Lucene) 기반의 Java 오픈소스 분산 검색 엔진

엥 ? 루씬 ?
나는 ElasticSerach 에 대해서 공부하러 왔는데 루씬 ?
https://media.giphy.com/media/ZNnQvIYzIBmZAbrBR7/giphy-downsized-large.gif
이게 뭐지 ? 포스팅을 잘 못 들어왔나 ? 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
루씬은 ES 내에서 실질적으로 돌아가는 검색 엔진이다.
그러면 루씬부터 차근차근 알아보자

루씬이란 ?

루씬은 자바로 만들어진 고성능 정보 검색 라이브러리이다.
파일 검색이나 웹 문서 수집, 웹 검색 등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아니고, 검색 기능을 가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이다.
자체적으로 수집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루씬의 검색 어플리케이션 구조는 아래와 같다.
큰 틀로 검색 대상 분석검색 과정으로 나뉘어 지는데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알아보자.

검색 대상 분석

검색 대상 > 검색 대상 텍스트 확보 > 루씬 문서 생성 > 문서 텍스트 분석 > 색인에 문서 추가

① 검색 대상 텍스트 확보
루씬 내부적으로는 수집에 관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지만, 누군가 대상을 수집해서 전달해줌으로써 검색 대상 텍스트를 확보한다.

② 루씬 문서 생성
문서란 루씬에서 사용하는 개별 단위이다. 루씬 문서는 여러 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③ 문서 텍스트 분석
루씬 문서의 텍스트를 텍스트 분석기를 사용해서 토큰이라고 불리는 단위로 분리한다. 루씬 내에 여러개의 텍스트 분석기가 내장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직접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④ 색인에 문서 추가
색인 과정이 끝난 해당 문서를 색인에 추가한다.

검색 과정

검색 화면 인터페이스 > 검색 질의 생성 > 질의 실행 > 결과 출력

① 검색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어 전달 받음

② 검색 질의를 생성
검색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받은 검색어를 검색 엔진에서 인식하는 query 객체로 변환

③ 질의를 통해 검색
검색 질의에서 생성한 query 객체에 해당하는 결과를 받아온다.
이때 검색 모델 중
순수 불리언 모델 (지정된 질의에 문서가 해당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확인, 점수 계산은 X) 과
벡터 공간 모델 (질의와 문서 모두 고차원 공간의 벡터로 표현, 거리를 계산하여 문서와 질의 사이의 연관도나 유사도를 확인)
총 두가지 모델을 사용하며, 필요의 경우 어떤 모델을 사용할지 지정할 수 있다.

이제 루씬 개념을 알아보면서 몸을 풀었으니 본격적으로 ElasticSearch 에 대해서 알아보자.

ElasticSearch 란 ?

ElasticSearch 는 위에서 얘기했던 것처럼 루씬을 기반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분석 엔진이다

ES 는 NRT 검색 플랫폼 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NRT 는 Near Real Time 의 약자로 문서를 색인화 하는 시점부터 문서가 검색 가능해지는 시점까지 약간의 대기 시간(대개 1초) 이 있어 실시간은 아니지만 거의 실시간에 가까운 속도로 색인된 데이터의 검색, 집계가 가능하다.

또한, 검색을 위해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보통 ELK Stack로 사용된다

ELK Stack 이란 ?

ELK Stack = ElasticSearch + Logstash + Kibana 로 요즘은 ELK Stack 에 Beats 를 더해서 Elastic Stack 이라고 한다.

🔎 Logstash
① 데이터 수집 파이프라인
② 파이프라인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필터를 통해 변환 후 ES 로 전송

🔎 Kibana
① ES 에서 색인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분석 및 시각화

🔎 Beats
① 경량 데이터 수집기
② 서버에 에이전트로 설치하여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Logstash나 Elasticsearch에 전송

  1. Beats 를 통해 데이터 수집 ﹥ 2. Logstash 로 데이터 필터링 ﹥ 3. ElasticSearch 에서 데이터 인덱싱 ﹥ 4. Kibana 로 비주얼라이징 된다.

그러면 이제 ES 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자. 🤓

ElasticSearch 의 구조

ES 의 구조는 ① 논리적 구조② 물리적 구조 총 2개로 나눠서 볼 수 있다.

데이터 관점에서의 구조 먼저 살펴 보자.

논리적 구조

으로 ElasticSearch 와 RDBMS 를 대응시켰을 땐 다음과 같이 대응 될 수 있습니다.

ESRDBMS
인덱스데이터베이스
샤드파티션
타입테이블
문서
필드
매핑스키마
Query SQLSQL

🌟 버전 7.0 부터 매핑 타입이 사라졌습니다 자세한 건 아래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 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earch/reference/7.17/removal-of-types.html

물리적 구조

클러스터는 ES 에서 가장 큰 시스템 단위를 의미하는데요. 클러스터의 입장에서 ES 를 바라봤을 때에는 아래와 같이 구조가 나뉘게 됩니다.

해당 이미지를 봤을 때에는
클러스터 > 노드 > 인덱스 > 샤드 로 나뉘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각 항목별로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클러스터 (Cluster)

최소 하나 이상의 노드로 이루어진 노드들의 집합입니다. 서로 다른 클러스터는 데이터 접근, 교환을 할 수 없는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유지됩니다.

노드 (Node)

클러스터에 포함된 단일 서버입니다.
노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master 노드 (node.master: true)

  • master 노드는 인덱스 생성 또는 삭제, 클러스터에 속한 노드 추적, 어떤 노드에 할당할 샤드 결정과 같은 클러스터 전체의 경량 작업을 담당합니다.
  • 클러스터에는 반드시 하나의 활성화된 master 노드가 있어야 하며, 그 외 노드들은 master 노드로 선출될 수 있는 master 후보 노드입니다. 기존 master 노드가 다운되는 경우 다른 master 후보 노드 중 하나가 master 노드로 선출됩니다.

② data 노드 (node.data: true)

  • 실제로 색인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노드입니다.
  • CPU, 메모리 등 자원을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master 노드와 분리되어야 함

③ ingest 노드 (node.ingest: true)

  • 데이터를 인덱싱하기 전에 다양한 전처리를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노드입니다.
  • 하나 이상의 수집 프로세서로 이루어진 사전 처리 파이프라인 실행합니다.

④ coordinating 노드 (node.master, node.data, node.ingest: false)

  • 로드밸런서 처럼 노드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aggregation 쿼리는 많은 부하를 일으키는데 coordinating 노드가 없을 때 aggregation 쿼리를 날리면 그걸 data node 에서 처리하는데에 큰 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coordinating 노드에서 먼저 aggregation 쿼리를 받아 각 data node 에 적절하게 요청을 분산하면 data node 는 search 쿼리만 날리면 되기 때문에 본래의 indexing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작동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모든 데이터는 모든 데이터 노드에 샤드로 분산되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검색 요청을 받은 노드는 클러스터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 노드에 검색을 요청
  2. 각 샤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범위 내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결과를 최초 요청한 Coordination 노드에게 전달
  3. Coordination 노드는 검색 결과가 도착하면 결과들을 하나의 커다란 응답 데이터로 병합해서 사용자에게 전달
  4. 각 데이터 노드에게 전달받은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하는 작업에 많은 양의 메로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용 노드를 따로 구성하는게 좋음

이거 외에도 여러가지 노드가 더 있는데 더 알고 싶은 분은 elastic 에서 제공하는 노드에 대한 문서를 봐주세요 👉 노드 공식문서

인덱스 (Index)

단일 데이터 단위인 도큐먼트를 모아놓은 집합체를 인덱스라고 합니다.

샤드 (Shard)

일종의 파티션으로 인덱스의 도큐먼트를 분산해서 저장하는 저장소입니다.
샤드의 갯수는 인덱스를 생성할 때에만 설정할 수 있으며, 중간에 샤드의 갯수를 바꾸려고 하는 경우 리인덱싱을 해줘야 합니다.
샤드는 primary 샤드와 replica 샤드로 나뉘어집니다.
① primary 샤드
처음 생성된 샤드를 의미합니다.

② replica 샤드
primary 샤드의 복제본으로 동일한 primary 샤드와 replica 샤드는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노드에 저장됩니다. 이를 통해 노드가 강제로 종료되더라도 replica 샤드를 통해서 복구 할 수 있습니다.

ElasticSearch 의 특징

ES 의 특징은 총 4가지를 가지고 있다.

① Scale out
샤드를 통해 규모가 수평적으로 늘어날 수 있습니다.

② 고가용성
Replica 샤드를 통해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③ Schema Free
Json 문서를 통해 데이터 검색을 수행하므로 스키마 개념이 없습니다.

④ Restful
데이터 CURD 작업은 HTTP Restful API를 통해 수행합니다.

🙇🏻‍♀️ 레퍼런스

[루씬 인 액션] 1. 루씬(Lucene)의 개념 및 구조
🙈[Elasticsearch] 기본 개념잡기🐵
Elastic 가이드 북
Elasticsearch Guide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