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원, 측정값, 연속값, 불연속값
- 연속형의 경우 초록색으로 표시
- 불연속형의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
✏️ 차원(Dimension)
차원
은 데이터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필드를 의미한다. 차원은 주로 범주형 데이터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고객 이름, 제품 카테고리, 지역 등이 차원에 해당한다. 차원은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분석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차원 필드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데이터이지만, 날짜나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 차원의 특징
-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다.
- 주로 범주형 데이터(카테고리 데이터)로 구성된다.
- 필터링 및 분류에 사용된다.
- 시각화에서 축 또는 레이블로 사용된다.
✏️ 측정값(Measure)
측정값
은 수치형 데이터를 의미하며, 주로 집계(합계, 평균 등)할 수 있는 값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매출액, 이익, 판매량 등이 측정값에 해당한다. 측정값은 차원에 의해 그룹화되어 분석되며, 데이터의 양적 변화를 나타낸다.
✏️ 측정값의 특징
- 수치형 데이터로 구성된다.
- 집계가 가능하다(합계, 평균, 최소값, 최대값 등).
- 시각화에서 값 축에 사용된다.
- 데이터를 분석할 때 양적 변화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 연속값(Continuous Value)
연속값
은 데이터가 연속적인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값들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띤다. 예를 들어, 시간, 날짜, 온도, 매출액 등이 연속값에 해당한다. 연속값은 일반적으로 수치형 데이터이며, 축에 연속적인 스케일로 표시된다.
✏️ 연속값의 특징
- 값들이 연속적이고, 중단 없이 이어진다.
- 주로 수치형 데이터이다.
- 축에 연속적인 스케일로 표시된다.
- 데이터의 분포와 경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 불연속값(Discrete Value)
불연속값
은 데이터가 불연속적이고, 명확히 구분된 값을 가질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국가, 제품 카테고리, 고객 ID 등이 불연속값에 해당한다. 불연속값은 주로 범주형 데이터이며, 축에 개별적으로 나열된다.
불연속값의 특징
- 값들이 명확히 구분된다.
- 주로 범주형 데이터이다.
- 축에 개별적으로 나열된다.
- 데이터를 개별적인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 차원과 측정값의 예시
✏️ 차원
- 고객 이름: 고객의 이름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화할 수 있다.
- 제품 카테고리: 제품의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판매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 지역: 지역별 매출을 비교할 수 있다.
✏️ 측정값
- 매출액: 특정 기간 동안의 총 매출액을 합산할 수 있다.
- 이익: 제품별 또는 지역별 이익을 계산할 수 있다.
- 판매량: 특정 제품의 판매량을 집계할 수 있다.
✏️ 연속값과 불연속값의 예시
✏️ 연속값
- 날짜: 날짜별로 매출액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 온도: 특정 기간 동안의 온도 변화를 시각화할 수 있다.
- 매출액: 매출액의 분포를 연속적인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불연속값
- 국가: 각 국가별 매출액을 비교할 수 있다.
- 제품 카테고리: 각 제품 카테고리별로 판매량을 분석할 수 있다.
- 고객 ID: 각 고객별 구매 내역을 추적할 수 있다.
reference: https://help.tableau.com/current/pro/desktop/ko-kr/datafields_typesandrole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