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혹은 추가 기능을 개발하던 도중에 다른 요청이 들어와서 개발을 멈추고 브랜치를 변경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데, 매번 Commit 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이때 임시 공간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Stash
기능이다.
git stash
명령어를 사용하면 워킹 디렉토리
디렉토리에서 수정한 파일들만 저장한다.
명령어가 실행되면 워킹 디렉토리
는 비워진다.
stash
는 여러차례 할 수 있으며 stack
구조로 보관소에 쌓이게 된다.
git stash list
명령어를 사용하면 stash
된 목록들을 확인할 수 있다.
git stash apply
명령어를 사용하면 stash
된 작업을 가져와서 워킹 디렉토리
에 올려놓는다.
git stash drop
명령어를 사용하면 stash
보관소에서 stash
를 제거한다.
별도의 옵션을 주지 않으면 가장 최근의 stash
를 제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