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와 동일하다. // 인 경우 한 줄 주석, /\* \*/ 인 경우 한 줄 이상의 주석을 표시할 수 있다.세미콜론 생략이 가능하다. 리터럴이란, 코드 작성시 코드 창에 값을 작성하는 문법을 말한다. 리터럴은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불리언(boolean) 으로
1급 객체 (First-class citizen) Kotlin 공식 문서에 들어가 보면, 1급 객체라는 말이 등장한다. 한국어로 번역 돌리면 1급 시민이라더라. 그렇다면 1급 객체에 대해 이해해 보도록 하자. 정의 위키백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Kotlin Scope Function은 let, run, with, apply, also가 있다. Scope Function은 객체의 컨텍스트 내에서 코드 블록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함수이다. 람다식이 제공된 객체에서 함수를 호출하면 해당 함수는 일시적인 범위를
Collections vs. Sequences
Kotlin에는 invoke 가 존재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는 연산자이다. 이름 없이 간단하게 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함수이다. 과연 무슨 뜻일까? invoke 게시물 리스트를 받아올 수 있는 UseCase가 있다. 이 경우에 위 UseCase 클래스를 아래와 같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다 보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뷰의 상태, API Response, Clean Architecture 기반 각 레이어의 데이터 모델 등 데이터 홀더가 필요한 경우가 굉장히 잦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는 클래스가 data class 이다.data cl
최근 업무 도중, runBlocking 을 사용한 적이 있어 회고하고자 글을 작성한다. 도입 runBlocking 을 사용하면서 Coroutine 을 사용하게 되면, Coroutine 이 종료될 때까지 스레드를 정지시키며 끝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