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배운 배열은 크기를 선언하고 사용을 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반해 ArrayList는 크기 지정없이 선언이 가능하고 목록을 추가함에 따라 크기가 늘어나는 방식이다.
배열을 선불 교통카드
ArrayList를 후불 교통카드로 이해하면 편할 것 같다.
ArrayList< 자료형 > 리스트 이름 = new ArrayList<>();
자료형은 참조형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int같은 기본형 을 사용해야할 경우 wrapper를 통해
참조형으로 변환시킨후 사용 가능하다.
그후 add remove get 같은 메소드를 통해 값을 저장,삭제,불러오기 등을 할 수 있다
ArrayList<Integer> number=new ArrayList<>();
number.add(1);
number.add(2);
number.add(3);
System.Out.println(number.size());
System.Out.println(number);
코드를 입력하세요
결과값
3
[1,2,3]
HashMap은 value 와 그 value를 가리키는 key를 같이 저장한다.
순서만 있는 ArrayList와 달리 value와 key가 쌍을 이루고 있다.
HashMap<key, value> 해시맵이름 = new HashMap<>();
예)
HashMap<Integer, String> map= new HashMap<>():
key 와 value에는 ArrayList와 마찬가지로 기본형은 들어올 수 없다.
HashMap에 쌍을 추가할 때는 put 메소드를 이용한다. 첫 파라미터로 key를 넘겨주고 두 번째 파라미터로 value를 넘겨준다.
map.put(1,"강호동");
map.put(2,"이수근");
map.put(3,"은지원");
원소를 꺼낼 때는get메소드를 이용해서 찾고자하는 value에 해당하는 key를 파라미터로 넘겨준다.
String name=map.get(1);
System.out.println(name);
결과값
강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