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하기
주소값을 저장하고 있고 Heap에서 실제값을 참조해서 사용
실제값이 저장되어 있는 공간을 가리키는 주소값 @7ad041f3
3 Array의 경우에는 class를 가져다 써야한다 (import)
ArrayList<String> rainbow = new ArrayList<String>();
System.out.println(rainbow);를 입력하세요
출력하면 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main 라는 오류가 뜬다
import java.util.ArrayList;
입력해줘야한다
ArrayList와 배열의 다른점
배열은 크기가 고정되어있지만 ArrayList는 유동적이다.
콘솔로 찍었을때 나타나는 값이 다르다
// tip: each public class is put in its own file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main
{
// tip: arguments are passed via the field below this edito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char A = 'A';
int ANumber = 65;
System.out.println(A == ANumber);
/*
// 1. String class
String hello = "hello, string!";
System.out.println(hello);
System.out.println(hello.length());
System.out.println(hello.substring(0,3));
//2.배열
String[] rainbow = {"빨","주","노","초","파","남","보"};
String[] rainbow2 = new String[7]; // 배열크기 고정
rainbow[0] = "빨";
rainbow[1] = "주";
rainbow[2] = "노";
rainbow[3] = "초";
rainbow[4] = "파";
rainbow[5] = "남";
rainbow[6] = "보";
//rainbow, rainbow2는 참조변수
System.out.println(rainbow[6]);
*/
//3.ArrayList - class를 갖다 써야한다 -import를 해야한다.
ArrayList<String> rainbow = new ArrayList<String>();
System.out.println(rainbow);
rainbow.add("빨");
System.out.println(rainbow);
// 위에 배열에서는 빨로 출력, 아래 arraylist에서는 [빨]로 출력됨
// 콘솔로 찍을때 나타나는 값이 다르다
// 배열은 크기가 고정되어있지만 ArrayList는 유동적이다.
}
}
위캔코딩 14강 자바와 데이터 타입변수 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