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무] 6/16. Spring Boot 기초

100·2025년 6월 16일
1

프로젝트

목록 보기
2/2

블로그 구현 연습에 스프링부트 3 백엔드 개발자 되기 책을 참고했다.


스프링 핵심 개념 4가지

  • IoC (제어의 역전): 객체 생성과 제어 권한을 개발자 대신 스프링이 맡는 구조.
  • DI (의존성 주입): 필요한 객체를 직접 만들지 않고, 스프링이 대신 넣어주는 방식.
  • AOP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핵심 로직과 공통 기능(로깅, 보안 등)을 깔끔히 분리하는 기법.
  • PSA (서비스 추상화): 다양한 기술(JDBC, JMS 등)을 추상화해 구현체가 바뀌어도 코드 변경을 최소화함.

애너테이션(Annotation)

코드에 붙이는 메타데이터(정보)로, 스프링이 그걸 보고 자동으로 동작을 설정함.

🔹 자주 쓰는 애너테이션 요약

애너테이션역할
@Component일반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
@Service비즈니스 로직 클래스 등록 (Component 역할 + 의미 부여)
@RepositoryDB 접근 클래스 등록, 예외 처리 자동화 포함
@Controller웹 요청을 처리하는 클래스 등록
@RestController@Controller + @ResponseBody, JSON 응답용
@Autowired필요한 객체를 자동 주입
@Bean개발자가 직접 빈 등록
@Configuration설정 클래스 지정
@RequestMappingURL 요청을 특정 메서드에 매핑

스프링 부트 3 구조

profile
멋있는 사람이 되는 게 꿈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