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구현 연습에 스프링부트 3 백엔드 개발자 되기 책을 참고했다.
코드에 붙이는 메타데이터(정보)로, 스프링이 그걸 보고 자동으로 동작을 설정함.
애너테이션 | 역할 |
---|---|
@Component | 일반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 |
@Service | 비즈니스 로직 클래스 등록 (Component 역할 + 의미 부여) |
@Repository | DB 접근 클래스 등록, 예외 처리 자동화 포함 |
@Controller | 웹 요청을 처리하는 클래스 등록 |
@RestController | @Controller + @ResponseBody , JSON 응답용 |
@Autowired | 필요한 객체를 자동 주입 |
@Bean | 개발자가 직접 빈 등록 |
@Configuration | 설정 클래스 지정 |
@RequestMapping | URL 요청을 특정 메서드에 매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