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생활코딩-Linux' 강의를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환경에서 접근권한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터미널에서 ls -l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터미널 창을 볼 수 있다.

ls -l 명령어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볼 수 있는 명령어이다.
저기 저 외계어 같은 리스트를 하나하나 살펴보자.
우선 첫번째 줄의 리스트를 상세히 뜯어보자.
-rw-r--r-- 1 ssaboo staff 0 5 3 16:34 cp.txt
우선 위의 리스트는 각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rw-r--r-- : 이 구간에서 또 3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구간을 access mode라 한다. 맨 앞 -은 파일과 디렉토리를 표시한다. 디렉토리라면 d로 표시될 것이다. -rwx 가 기본 구조이다. 만약 rwx중 권한이 없다면 -로 표시된다. r : Read(읽기)w : Write(쓰기)x : eXecute(실행)-rw- : 첫번째 구간은 User(Owner)에 대한 권한을 나타낸다.r-- : 두번째 구간은 Group에 대한 권한을 나타낸다.r-- : 세번째 구간은 Other에 대한 권한을 나타낸다.1:ssaboo staff : 사용자(User)와 그룹(Group)을 나타낸다.ssaboo : 사용자(User)staff : 그룹(Group)대상파일과 디렉토리의 permission(권한)을 바꿀 수 있는 명령이다.
% Chmod 옵션 (reference)(operator)(modes) 파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reference u : User(사용자)g : Group(그룹)o : Other(사용자,그룹이 아닌 사용자)a : All(사용자 전부)operator + : 권한 추가- : 권한 제거= : 권한을 설정한대로 변경modesr : Read(읽기)w : Write(쓰기)x : eXecute(실행)- : 사용권한 없음.예시를 한번 살펴보자.

perm.txt 의 other의 r(읽기) 권한을 없애는 명령을 수행해보자.
chmod 명령어를 사용하면된다.
% chmod o-r perm.txt

명령을 수행하자 other의 r권한이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hmod 명령어의 권한을 8진법 숫자로 간단하게 바꾸는 방법도 있다.

% chmod 000 +파일이름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면 권한이 ----------로 변경된다. 8진법 숫자의 모드를 조합하여 편하게 권한을 수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