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의 모든 0을 제거합니다.
- x의 길이를 c라고 하면, x를 "c를 2진법으로 표현한 문자열"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x = "0111010"이라면, x에 이진 변환을 가하면 x = "0111010" -> "1111" -> "100" 이 됩니다.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1"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s에 이진 변환을 가했을 때, 이진 변환의 횟수와 변환 과정에서 제거된 모든 0의 개수를 각각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생각한 풀이
1. 문자열에 있는 문자를 하나씩 받아오자
2. 해당 문자열에서 0 등장 횟수 카운트
3. 해당 카운트를 이진법으로 표현하기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 {
int[] answer = new int[2];
int zeros =0;
int steps=0;
while(!s.equals("1")){
int cnt=0;
for(char c:s.toCharArray()){
if(c=='0'){
cnt++;
}
}
zeros+=cnt;
s=Integer.toBinaryString(s.length()-cnt);
steps++;
}
answer[0]=steps;
answer[1]=zeros;
return answer;
}
}
🐴 풀이
1. while문 내부에서 s를 char 배열로 변경해 0이 몇 개 인지 카운트한다
2. while문이 돌 때 steps를 1씩 증가해 주고, cnt를 셀 때마다 zeros에 추가해 준다
3.. 카운트한 만큼 zeros에 추가하고 s의 길이 - cnt 한 값을 toBinaryString()을 통해 바로 이진화를 한다
4. 해당 과정을 모두 수행 후 answer 배열에 steps와 zeros를 넣어 출력한다
toBinaryString()
파라미터에 수를 입력하면 해당 수를 이진법으로 표기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