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순히 PK,FK, 값의 속성만을 고려해서는 안된다. 비즈니스 규칙 또한 DB에서 보장해야하는 무결성의 대상이다. !

AWS RestFul API

양방향 매핑에서 Lazy를 걸어놓은 객체와 잘 연동이 되는지 테스트하고 싶었다.하지만 편의메서드를 작성하지 않아 영속성 컨텍스트를 비워두고 (EntityManeger.clear사용 )해서 테스트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멘토님께서 퍈의메서드를 알려주셔 요부분 알아보

👩💻 JPA… 너 진짜 양파같다 🧅 \(〇o)/(⊙⊙)?(⊙ˍ⊙) 현재 상황 entityManager.clear(); 도입을 통해 해결했다. 왜 이 엔티티 매니저가 동작하면 해결되는지 공부를 하고자한다. (실제 오류 코드는 아니고 단순하게 설명하기 위해

현재 상황 배포한 서비스의 에러로그를 보기 위해선 E2C 우분투 서버에 들어가 직접 명령어로 로그를 확인해야했고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 cmd 창에서 로그를 보다보니 가독성 측면에서 좋지않았다. 에러 로그를 보기 위해서는 우분투 서버의 주인이 꼭 필요했다!!

일단 프로젝트를 끝내고 시간이 지나니까 솔직히 기억이 안남 일단 내 기억을 되짚어보니까 멤버롤이넘으로 추가정보필요 멤버 ㅊ추가정보완료 멤버를 구분햇던건 기억이 남 실제 관련 코드도 있었음 하지만 저 멤버롤을 도대체 어디서 넣는지 , 시점을 확인하는데 너무 어려웠

그동안 DB에서 조회해온 엔티티에 값을 변경하였다. 이 메서드가 끝난 후에 DB에 값이 변경되어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변경이 반영되지 않았고, 해당 메서드에 @Transactional을 적용해 엔티티 값 변경을 DB에 정상 반영할 수 있었다.따라서 이후 엔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