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짤 너무 나인 것이지...
이것이 과연 내 지식인지 너 지식인지,,,
하지만 이런 고민에 대해 영원한 진리는 내 지식이 아니라는 것 ^^
로그인은 어떤 프로젝트에서도 쓰이고,...
사실 졸작이랑 공모전 프로젝트에서 구글 로그인을 구현해야해서 그랬음..^^
공모전에서도 JWT를 쓸건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구글, 네이버,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해본 경험을 한 차례씩 얻었으니까 뿌듯하다.
JWT도 똑같이!!
JWT를 사용하는 이유사실 직접 써서 한건 아니니까 모르겟지만, 구현을 따라하면서 느낀 점을 작성하겠다.
뭐 이후에 또 공부하면서 새롭게 알게된 게 있으면 그때 정리하면되니까!
내가 발급한 토큰인지 간단하게 확신할 수 있다. 또한 DB에 가지 않아도 토큰에 username과 필요한 권한을 넣어놨으니까 DB에 접근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에 권한말고도 email이 필요하다면 쿠키에 토큰을 발급할 때, email도 넣어서 발급하면 되겠죠?
DB에 접근하지 않아도 되니까 속도를 많이 향상 시킬 수 있을 것 같다.
여기는 짧게 정리하는 부분이니까 따로 더 자세히 정리할게요..
내게 남은건 velog와 gitHub...
사실 이 블로그의 방향성도 정말 모르겠고.. 내가 뭘 하는지 모르겠다..?
이게 정말 나에게 도움이 될지, 의미있는 글이긴 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