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시로딩과 지연로딩은 JPA를 사용핼때 데이터를 언제&어떻게 불러올지 결정하는 두 전략이다!데이터를 조회할때 연관된 모든 객체의 데이터를 "한번에" 불러오는 방법ex) 게시글을 불러올때 해당 게시글과 연관된 댓글도 모두 가져온다장점) 한번의 쿼리로 모든 데이터를 가져올
: JPA에서 지연로딩 전략때문에 발생하는 성능 문제XToMany 관계\_에 있는 엔티티를 조회할때\-> 부모 엔티티 가져오는 쿼리 1번 발생\-> 자식 엔티티 가져오는 쿼리 N번 발생ex) Order 1개 - OrderItem 10개 총 1+10=11개의 쿼리가 발생
1)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제공해주는 클래스임! \-> 따라서 우리가 따로 작성할 필요없이 가져다가 쓰면된다2) HttpEntity 클래스를 상속받아 구현한 클래스이다.전체 HTTP 응답 (바디 + 헤더 + 상태코드)를 캡슐화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내줄 수 있음\
1) 헤더2) 바디 -> responseDto가 들어가는 부분(SuccessResponse/FailResponse)3) 상태코드 -> HttpStatus의 상태코드가 들어가는 부분HttpStatus.OK (200) :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됐을 때 사용합니다.HttpS
응답의 형태가 일관되지 못할때, 봉투에 담으면 어떨까? 그래서 도입된게, 봉투 패턴 > ### 📌 봉투 패턴이란? Wrapper DTO를 만드는 방법 ex) [Wrapper DTO - ApiResponse클래스] [반환 형태] [해당 방법의 단점] 매번
spring data JPA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JPA를 사용해 DB를 조작하는 메서드를 제공해준다@Repository 어노테이션 추가할 필요 XJpa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인터페이스 정의해 사용ex) findAll(), findById(), s
🚨 aws의 ec2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우분투 서버를 돌리고 있었는데 어느날부터 서버가 안돌아가기 시작했다! > 구글링한 결과 인스턴스 재부팅을 하라고 해서 했는데, 며칠있다가 또 서버가 터졌다... 📈 aws서버 분석 1) 문제점 파악 -> 총 2개의 검사중
동아리의 정보를 담아야하는 Club 엔티티의 필드값이 하나하나 추가해보니 너무 많아졌다. 기본적으로 동아리의 정보로 필요한 것에는 id(DB에 저장되는 PK), 동아리명, 동아리의 분과, 동아리의 단과대, 동아리의 학과, 동아리 소개, 동아리 방, 동아리 리더, 동아

네이밍 컨벤션에 따라 boolean 필드명을 is~로 정의하였다.DTO에 isAgreeToProvideInfo 필드도 넣어 프론트에 반환해줘야해서,정적 팩토리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넘어온 Club club에서 getter를 사용해 필드값을 추출하려고 했다.알아보니lomb

\-> 클래스의 필드값 중 enum 타입인 것에 붙이는 애노테이션이다.예시를 통해 이해해보자!만약 ClubType값에 소모임을 설정하고 싶다고 하자.1️⃣ @Enumerated(EnumType.ORIGINAL) ORIGINAL로 설정하면, DB에 2로 저장된다.Club

웹 브라우저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만약 웹에 접속하는 고객이 동시에 요청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한다면,메모리 낭비도 너무 심할것!=> 따라서 객체가 딱 1개만 생성되어 해당 인스턴스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싱글톤

스프링 컨테이너는 1\. beanFactory 인터페이스2\.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로 구현하게 된다.Bean(객체)를 생성하고, 의존성 주입(DI)를 처리해준다Application실행시, 모든 Bean을 등록하고 관리한다특정 객

@Transactional로 감싸진 메서드 내에서 특정 필드값을 변경하는 로직이 포함되어있을때,save()메서드를 호출하지 않아도 JPA가 update 쿼리를 날려 DB에 변경사항을 반영해주는 것예시를 통해 확인해보자현재 나의 상황은 하나의 recruit(모집글)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