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choi seung-i·2022년 4월 7일
0

공부로그

목록 보기
10/25
post-thumbnail

HTTP 웹 서비스의 핵심 프로토콜

우리는 어떻게 소통 하는가 ?

  • HT :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Hyper Text =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어 있음
  • T : Transfer
    전송하다 = 물건이나 편지따위를 보내다
    HTML로 만든 웹 페이지 문서(파일)를 보낸다
  • P : Protocol
    컴퓨터끼리 어떻게 HTML 파일을 주고 받을 지에 대한 소통 방식 또는 약속

=> 어떠한 '규약'을 가지고 페이지를 전송한다.
=> 요즘엔 페이지만 전송하는것이 아닌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더 넓게 사용

Request(요청), Response(응답) 형태

  • 항상 클라이언트 측에서 Request가 있고나서 서버에서 Respnese가 있다.

Stateless

상태(기억력)가 없다. (요청을하면 응답을해주면 이전 요청을 기억하지 못한다)
한번에 요청을하거나 응답을 받은 후 해당 응답+요청을 담아서 다시 요청을 한다.
=> 매 통신마다 사전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아서 요청을 해야함
ex) 로그인 후 볼 수 있는 영상 : 이 영상을 보여줘 요청 (로그인 정보 함께 전달)

그럼, 왜 Stateless 를 ?

많은 상태를 기억(stateful)하기 힘드니까, 1:1 요청<->응답으로 함.
stateful ? 실시간 채팅에서 주로 사용(계속 열어두는 소켓과 비슷한?)

HTTP 개별 통신은 모두 독립이어서, 과거의 HTTP 통신의 결과(상태)를 보존하지 않음


- Request

POST / login HTTP / 1.1
Headers:{
Host : www.wecode.co.kr
User-Agent : chrome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Content-Length : 50
}
Body:{
"username" : "wecode",
"paddword" : "wecode123"
}

  • Start Line : 요청의 첫번째 줄
    HTTP method 요청이 의도한 액션을 정의
    Reaudset target 요청이 전송되는 목표 url
    HTTP version HTTP 버전
  • Headers : 요청의 메타데이터를 담고 있는 부분
    {key : value} 형태
  • Body : 요청의 실제 내용
    요청 메소드에따라 내용이 존재할 수도있고, 없을 수도 있다.

- Response

HTTP / 1.1 404 Not Found
HTTP / 1.1 200 SUCCESS
Headers:{
Host : www.wecode.co.kr
User-Agent : chrome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Content-Length : 50
}
Body:{
"username" : "wecode",
"paddword" : "wecode123"
}

  • Status Line : 응답의 첫번째 줄 - 상태를 나타냄
    HTTP version HTTP버전
    Status Code 응답 상태 코드 (왜 쓰나? 표준, 통일성)
    Status Text 응답의 상태를 간략히 설명하는 텍스트
  • Headers : 요청의 메타데이터를 담고 있는 부분
    {key : value} 형태
  • Body : 요청의 실제 내용
    요청 메소드에따라 내용이 존재할 수도있고, 없을 수도 있다.

=> 요청과 응답 모두 메세지 형태, start /status 만 다름


HTTP Request Method 종류, 차이점

... 다른 메소드들도 많지만 대표 메소드 3개!

GET

  • 데이터를 받아오기만 할 때 사용
  • 웹페이지에 접속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올 때 사용

    // 장바구니 목록 불러오기
    GET/shop/bag HTTP 1.1
    HTTP/1.1 200 OK
    요청은 가져오기만 하는거니까 요청메세지에 body가 없음
    -> body가 없으니 header로 보내야 해서 중요한 정보는 담지 않는게 좋음

POST

  • 데이터를 생성 / 수정할 때 사용
  • POST를 사용하는 규율은 개발자들이 정해서 사용
  • Body에 담는 내용이 핵심!

    // 장바구니 담기
    POST/shop/bag HTTP 1.1
    HTTP/1.1 201 Created
    -> POST의 body를 탈취 당할 수도 있지만, 그래서 나온게 HTTPS
    -> HTTPS? body를 암호화 해서 보내줌

DELETE

  • 서버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

    // 장바구니 목록 삭제
    DELETE/shop/bag/30 HTTP 1.1
    HTTP/1.1 204 No Content -> 지웠으니 보내 줄 컨텐츠가 없다

    보내 줄 컨텐츠가 없으니까 응답메세지에 body가 없음


Status code

세부적인 내용은 더 많지만 주요 에러가 나는 곳을 확인하는 것은 100번대로 알 수 있음

Success (200번 대)

Client Error (400번 대)

Server Error (500번 대)


공부하며 정리&기록하는 ._. 씅로그

profile
Front-en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