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개론 3판] 5장 연습문제

상준·2023년 10월 21일
0

database

목록 보기
10/24

01 다음 중 개체에 관한 데이터를 릴레이션이라 불리는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릴레이션들 사이의 관계는 기본키와 이를 참조하는 외래키로 표현하는 논리적 데이터 모델은?

  1. 계층 데이터 모델
  2.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3. 관계 데이터 모델
  4.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

02 릴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릴레이션은 릴레이션 스키마와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되어 있다
  2. 릴레이션 스키마는 릴레이션의 논리적인 구조로 릴레이션 내포라고도 한다.
  3. 릴레이션 인스턴스는 어느 한 시점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투플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릴렝션 외연이라고도 한다.
  4. 릴레이션 스키마는 적인 특징이 있고, 릴레이션 인스턴스는 적인 특징이 있다.

03 릴레이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릴레이션에는 동일한 투플이 존재할 수 없다.
  2.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투플 사이의 순서는 무의미하다.
  3.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속성 사이의 순서는 무의미 하다.
  4. 모든 속성 값은 논리적으로 분해 가능한 복합 값이어야 한다.

04 릴레이션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속성은 릴레이션에서 열을 의미한다.
  2. 투플은 릴레이션에서 행을 의미한다.
  3. 도메인은 릴레이션에서 전체 속성의 개수를 의미한다
  4. 카디널리티는 릴레이션에서 전체 투플의 개수를 의미한다.

05

관계 데이터 모델 관련 용어 중 행은 (투플), 열은 (속성), 그리고 (테이블)은 릴레이션이라 부른다.

06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속성의 개수를 무엇이라 하는 가?

  1. 도메인(domain)
  2. 인스턴스(instance)
  3. 차수(degreee)
  4. 카디널리티(cardinality)

07 릴레이션에서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릴레이션에서 에 해당한다
  2. 하나의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속성은 서로 다른 이름으로 구별한다.
  3. 속성은 파일관점에서 데이터 필드(field)에 해당한다.
  4.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속성의 개수를 차수라고 한다.

08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모든 투플의 개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도메인(domain)
  2. 인스턴스(instance)
  3. 차수(degree)
  4. 카디널리티(cardinality)

09

릴레이션 - 하나의 개체에 관한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의 구조로 저장한 것
속성(애트리뷰트) - 릴레이션의 열
투플 - 릴레이션의 행

10 한 릴레이션의 스키마가 속성 5개, 후보키 3개를 가지고 그 스키마에 대응하는 릴레이션 인스턴스가 10개의 투플을 갖는다면 그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는?

  1. 3
  2. 5
  3. 10
  4. 15

11 널 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직 모르는 값이다.
  2. 적합한 값이 없다.
  3. 숫자 0이나 공백 문자와 같은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4. 기본키로 선택된 속성은 널 값을 가질 수 없다.

12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키는?

하나의 릴레이션 내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되고,
릴레이션에 있는 모든 투플에 대해 유일성은 만족시키지만 최소성은 만족시키지 못한다.
  1. 외래키
  2. 슈퍼키
  3. 후보키
  4. 대체키

13

투플을 유일하게 구별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투플을 검색하거나 정렬할 때 주로 사용하는 키는 (A),
릴레이션들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키는 (B)다.

A: 기본키
B: 외래키

14 후보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와 대응되어 릴레이션 간의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다.
2. 릴레이션의 후보키는 유일성과 최소성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3. 하나의 릴레이션에 속하는 모든 투플들은 중복된 값을 가질 수 없으므로 모든 릴레이션은 반드시 하나 이상의 후보키를 갖는다.
4. 릴레이션에서 투플을 유일하게 구별해주는 속성 또는 숙성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15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릴레이션 내의 투플들이 각 속성의 도메인에 지정된 값만 가져야 한다.
  2. 릴레이션은 참조할 수 없는 외래키 값을 가질 수 없다.
  3. 외래키 값은 참되는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 한다.
  4. 기본키를 구성하는 모든 속성은 널 값을 가질 수 없다.

16 외래키와 관련이 있는 무결성 제약조건은?

  1. 도메인 무결성 제약조건
  2.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
  3. 참조 무결성 제약조선
  4. 기본키 무결성 제약조건

17 릴레이션 A의 키본키에 해당하는 속성 값을 변경하려면 이를 참조하는 릴레이션 B의 외래키에 해당하는 속성 값도 변경해야 하는데 이러한 특성과 관련 맀는 무결성 제약조건은?

  1. 도메인 무결성 제약조건
  2.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
  3.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
  4. 기본키 무결성 제약조건

18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하나의 속성을 가질 수 있는 모든 값들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도메인

19

(1) 슈퍼키는 후보키이기도 하다. (X)
(2) 기본키는 후보키이기도 하다. (O)
(3) 기본키로 외래키를 사용할 수 있다. (O)
(4) 외래키는 널 값이 허용되지 않는다. (X)
(5) 외래키의 속성 개수와 참조되는 릴레이션에 있는 기본키의 속성 개수는 같아야 한다. (O)

20 릴레이션의 특성으로 적합한 것

(A) 하나의 릴레이션에 있는 모든 투플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B)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투플 사이의 순서는 없다.
(C) 하나의 릴레이션에 있는 모든 속성은 서로 다른 이름으로 구별된다.
(E) 모든 속성의 값은 논리적으로 더는 분해할 수 없는 원자 값만 허용된다.

21 외래키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

(B) 외래키를 가진 릴레이션을 참조하는 릴레이션이라 하고, 대응되는 기본키를 가진 릴레이션을 참조되는 릴레이션이라 한다.
(C) 릴레이션 R1에 속한 속성 집합이 다른 릴레이션 R2의 기본키임을 의미한다.
(F) 외래키와 이에 대응되는 기본키는 도메인이 같아야 한다

22

기본키를 구성하는 모든 속성은 널 값을 가질 수 없음을 의미하는 무결성 제약조건을( A )라고 한다. 그리고 릴레이션 R1의 투플이 릴레이션 R2에 있는 투플을 참조하는 경우, 참조되는 투플이 반드시 릴레이션 R2에 존재해야 함을 의미하는 무결성 제약조건을 ( B )라고 한다.
A: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
B: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

23 관계 데이터 모델의 키에 대한 설명

( 슈퍼키 )는 융일성을 만족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이다. 후보키는 유일성과 ( 최소성 )을 만족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이다. 기본키는 후보키들 중에서 선택된 키이고, 기본키로 선택되지 못한 키를 ( 대체키 )라고 한다.

24

중복이 생기면 유일성을 만족하지 못하여 기본키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
컴공생 공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