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릴레이션 A와 B가 합병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두 릴레이션의 인스턴스가 동일해야 한다.
- 두 릴레이션의 차수가 동일해야한다
- 두 릴레이션의 대응하는 속성의 이름은 달라도 상관없다.
- 두 릴레이션의 대응하는 속성의 도메인은 동일해야 한다.
02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과 처리를 요구하는 표현력에서 동등한 능력이 있다.
- 관계 대수는 절차 언어이고, 관계 해석을 비절차 언어다.
- 관계
대수는 수학의 프레디킷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 관계 해석은 투플 관계 해석과 도메인 관계 해석으로 분류된다.
03 관계 대수 연산자 중 일반 집하 연산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
- —
- ⋃
- X
04 관계 대수 연산자 중 종류가 다른 것은?
- π
- ⨝
X
- σ
05 릴레이션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투플들을 반환하는 관계 대수 연산자는?
- σ
- π
- ⨝
- ➗
06 릴레이션 R의 각 투플과 릴레이션 S의 각 투플을 모두 연결하여 만든 새로운 투플을 반환하는 관계 대수 연산자는?
- select
- project
- join
- division
07 릴레이션 R의 각 투플과 릴레이션 S의 각 투플을 모두 연결하여 만든 새로운 투플을 반환하는 관계 대수 연산자는?
- ⋂
- ⋃
- —
- X
08 공통 속성을 이용해 릴레이션 R과 S의 투플들을 연결하여 만든 새로운 투플들을 반환하는 관계 대수 연산은?
- select
- project
- join
- division
09 다음 중 교환적 특징을 가지지 않는 연산자는?
- U
- ⋂
- –
- X
10 관계 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처리를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만 기술하는 비절차 언어다.
- 투플 관계 해석과 도메인 관계 해석이 있다.
-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릴레이션을 처리하는 연산자들의 집합으로, 피연산자와 결과가 모두 릴레이션이다.
- 관계 대수는 수학의 프레디킷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11 합병 가능한 두 릴레이션 R과 S가 있을 때, R-S 연산의 결과 릴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A) 결과 릴레이션의 차수는 릴레이션 R의 차수와 같다
(B) 결과 릴레이션의 차누는 릴레이션 S의 차수와 같다
(D) 결과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느 릴레이션 R의 카디널리티와 같거나 적다
12 릴레이션 R의 차수가 5이고 카디널리티가 8, 릴레이션 S의 차수가 3이고 카디널리타가 6일 때 두 릴레이션을 카티션 프로럭트한 결과 릴레이션의 차수와 카디널리티는?
- 8, 14
- 8, 48
- 15, 14
- 15, 48
13
σ(R) - 릴레이션 R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투플들을 반환
^ : and
π(R) - 릴레이션 R에서 주어진 속성들의 값으로 구성된 투플들을 검색
14 자연 조인 연산을 수행할 때 상대 릴레이션에 조인 속성 값이 같은 투플이 존재하지 않아 조인 연산에서 제외되었던 모든 투플을 결과 릴레이션에 포함시키는 조인 연산은?
- 동일 조인
- 세타 조인
- 외부 조인
- 세미 조인
15 관계 대수의 조인 연산에서 중복된 속성이 한 번 만 결과 릴레이션에 나타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세타 조인
- 동등 조인
- 자연 조인
- 외부 조인
16 관계 대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을 고르시오.
(A)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한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하는 절차 언어다.
(B) 일반 집합 연산자와 순수 관계 연산자가 있다.
(C)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릴레이션을 처리하는 연산자들의 집합으로, 피연산자와 결과가 모두 릴레이션이다.
(E)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순서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17 관계 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하는 절차 언어다.
- 수학의 프레디킷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 관계 해석으로 표현한 질의는 관계 대수로 표현할 수 없다.
- 일반 집합 연산자와 순수 관계 연산자로 분류된다.
18 관계 대수의 폐쇄 특성을 설명하시오.
피연산자인 릴레이션에 연산자를 적용한 결과도 릴레이션
19
관계 대수나 관계 해석으로 기술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처리 요구를 새로 제안된 데이터 언어가 기술할 수 있다면 그 언어를 (관계적으로 완전) 하다고 말할 수 있다.
20 동등 조인과 자연 조인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동등 조인
자연 조인은 동등 조인의 결과 릴레이션에서 중복된 속성을 제거하여 조인 속성이 한번만 나타나게 한다
21
두 릴레이션 R, S에 대해 릴레이션 R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투플들을 릴레이션 S에서 분리해서 프로젝트하는 연산
➗
22
두 릴레이션 R,S에 대해 릴레이션 R에는 존재하지만 릴레이션 S에는 존재하지 않는 투플을 추출하는 연산
R-S
23
릴레이션 R의 차수가 3이고, 릴레이션 S의 차수가 4다. 그리고 두 릴레이션은 1개의 속성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1) 릴레이션 R과 S에 대해 동등 조인 연산을 수행한 경우 결과 릴레이션의 차수는 얼마인가? 7
(2) 릴레이션 R과 S에 대해 자연 조인 연산을 수행한 경우 결과 릴레이션의 차수는 얼마인가? 6
(3) 릴레이션 R과 S에 대해 세미 조인 연산을 수행한 경우 결과 릴레이션의 차수는 얼마인가? 3
(4) 릴레이션 R과 S에 대해 완전 외부 조인 연산을 수행한 경우 릴레이션의 차수는 얼마인가?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