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개론 3판] 9장 연습문제

상준·2023년 12월 9일
0

database

목록 보기
18/24

01 정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법 중 하나다
  2. 좋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고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3. 정규형에는 제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보이스/코드 정규형, 제4정규형, 제5정규형 등이 있다.
  4. 속성들 간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잘못 설계된 릴레이션들을 결합하면서 문제를 해결한다.

02 정규화의 필요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수정, 삭제 시 이상 현상을 최소화한다.
  2. 데이터 중복을 활성화해서 효과적인 검색을 지원한다.
  3. 릴레이션을 분해하여 관련 있는 속성들로만 릴레이션을 구성한다.
  4. 릴레이션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한다.

03 정규화를 하지 않으면 릴레이션을 조작할 때 데이터 중복 때문에 곤란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삭제 이상
  2. 삽입 이상
  3. 검색 이상
  4. 갱신 이상

04 다음 중 릴레이션을 조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상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상은 속성들 간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종속 관계를 하나의 릴레이션에 표현할 때 발생한다
  2. 데이터를 삽입할 때 불필요한 데이터가 함께 삽입되는 현상을 삽입 이상이라 한다.
  3. 릴레이션의 한 투플을 삭제할 때 연쇄 삭제로 인해 꼭 필요한 데이터가 함꼐 삭제되는 현상을 삭제 이상이라 한다.
  4. 속성들 간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여러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결합하면서 이상 현상을 해결한다.

05 어떤 릴레이션 R에서 X와 Y를 각각 R의 속성 집합의 부분 집합이라고 할 경우 속성 X의 값 각각에 대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속성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 Y가 X에 함수적으로 종속되어 있다고 한다. 이를 기호로 옳게 표기한 것은?

  1. X ⟫ Y
  2. Y ⟫ X
  3. Y → X
  4. X → Y

06 어떤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속성이 원자 값만 가지며, 기본키가 아닌 속성 모두가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이지만 이행적 함수 종속이 나타나면 어떤 정규형에 해당하는가?

  1. 제1 정규형
  2. 제2 정규형
  3. 제3 정규형
  4. 보이스/코드 정규형

07 이행적 함수 종속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1. A->B이고 B->C일 때, A->C를 만족하는 관계
  2. A->B이고 B->C일 때, C->A를 만족하는 관계
  3. A->B이고 B->C일 때, B->A를 만족하는 관계
  4. A->B이고 B->C일 때, C->B를 만족하는 관계

08 정규화 과정 중 제1정규형에서 제2정규형이 되기 위한 조건은?

  1. 제1 정규형을 만족하고 모든 속성의 도메인이 원자 값이어야 한다.
  2. 제1 정규형을 만족하고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들이 기본키에 이행적으로 함수 종속되지 않아야 한다.
  3. 제1 정규형을 만족하고 다치 종속이 제거되어야 한다.
  4. 제1 정규형을 만족하고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되어야 한다.

09 제2정규형에서 제3정규형이 되기 위한 조건은?

  1.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2. 부분적 함수 종속 제거
  3. 다치 종속 제거
  4.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아닌 것 제거

10 정규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속성의 도메인이 원자 값만 가지면 릴레이션은 제1정규형에 해당한다.
  2. 정규화는 제1정규형에서 제5정규형으로 갈수록 만족시켜야 할 제약조건이 많아진다.
  3. 릴레이션이 제1정규형을 만족하면서,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이면 제2정규형에 해당한다.
  4. 릴레이션이 제2정규형을 만족하고,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이닌 것을 제거하면 제3정규형에 해당한다.

13 A,B,C,D 속성으로 구성된 릴레이션 R은 {A,B}가 기본키다. 다음과 같은 릴레이션은 어떤 정규형에 속하는가?

{A, B} → C     {A, B} → D     B → C     C → D
  1. 제1정규형
  2. 제2정규형
  3. 제3정규형
  4. 보이스/코드 정규형

15

X -> Y가 성립하고 Y -> Z도 성립하면 X->Z가 성립한다.

(1) 이행적 함수 종속 관계에 관련된 설명

(2) 정규화 과정에서 이러한 함수 종속 관계를 제거하는 단계는?
1. 1NF -> 2NF
2. 2NF -> 3NF
3. 3NF -> BCNF
4. BCNF -> 4NF

16

중복된 투플 중에서 일부 투플의 속성 값만을 변경함으로써 정보의 모순성이 생기는 현상

갱신이상

17 다음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함수 종속성을 찾으시오.

A | B | C
2 | 3 | 8
5 | 9 | 6
7 | 9 | 6
5 | 9 | 1

A → B

18 제3정규형에서 보이스/코드 정규형으로 정규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작업이 필요한가?

후보키가 아닌 결정자 제거

19 정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제2정규형은 반드시 제1정규형을 만족해야 한다.
제1정규형은 모든 속성의 도메인이 원자 값으로 되어 있는 릴레이션이다.
보이스/코드 정규형은 강한 제3정규형이라고도 한다.

20 데이터베이스 이상 현상의 종류 세 가지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삽입 이상: 새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 불필요한 데이터도 함께 삽입해야 하는 문제

갱신 이상: 중복된 투플 중 일부 투플만 변경하여 데이터가 불일치하게 되는 모순의 문제

삭제 이상: 투플 삭제 시 꼭 필요한 데이터까지 함꼐 삭제되는 데이터 손실의 문제

21 다음과 같은 함수 종속성을 가지는 릴레이션은 어떤 정규형에 속하는가? 단, A가 기본키다.

A → (B, C, D)	 	B → C

이행적 함수 종속, 제 2정규형

22 다음과 같은 함수 종속성을 가지는 릴레이션은 어떤 정규형에 속하는가? 단, {A, B}가 기본키다.

{A, B] → C 	 {A, B} → D 	 B → C

제 1 정규형

23 다음과 같은 함수 종속성을 가지는 릴레이션은 어떤 정규형에 속하는가? 단, {A, B}가 기본키다.

{A, B} → C 	 	 C → B 

제 3정규형

24 보이스/코드 정규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보이스/코드 정규형에 속하는 릴레이션은 반드시 제3정규형에 속한다.
제3정규형에 속하지만 보이스/코드 정규형에 속하지 않는 릴레이션도 있다.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인 릴레이션이 보이스/코드 정규형에 속한다.

profile
컴공생 공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