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관리 필요성
프로젝트 관리의 실패 원인
- 부정확한 요구사항
- 사용자 환경 이해 부족
- 프로젝트 관리 기술 부족
- 부족한 자원
- 높은 사용자 기대치
- 변경 관리 부족
- 지원 관리 실패
- 부정확한 프로젝트 계획
- 개발자 기술 부족
프로젝트 관리 기법
일정 관리 기법
베이스라인 관리
- 베이스라인(Baseline)
어떤 변경이 발생했을 때 모든 관련자의 합의를 거쳐 변경 사항을 결정한 다음 후속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출발점
요구사항(requirement) 베이스라인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한 후에 정의하는 베이스라인
기능(functional) 베이스라인
요구사항 명세서와 추적성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향후 작업의 기준점을 설정함
제품(Product) 베이스라인
- 소프트웨어 개발을 완료한 후에 정의하는 베이스라인
- 개발 과정의 모든 산출물(코드 포함)이 해당 베이스라인의 기준선에 포함됨
작업 분할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의 전체 목표를 중간의 세부 목표들로 쪼개어 나타낸 작업 목록
- 트리 형태로 표현됨
- 트리의 루트가 프로젝트의 전체 목표가 됨
- 액셀, MS Project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작성
- 프로젝트 전체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음
칸트 차트(Gantt Chart)
- 프로젝트의 스케줄링, 예산 산정, 자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정 표현 기법
- 일반적으로 바 차트 형태로 표시하며 바의 길이에 비례하여 소요 시간을 나타냄
퍼트 차트(PERT Chart)
- 프로젝트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태스크 간의 의존성 관계를 표현하는 차트
- 원과 화살표를 이용하여 나타냄
- 원은 태스크, 화살표는 태스크 간의 의존성을 표현함
- 임계 경로, 각 경로상에 있는 태스크 수행 일수의 합이 가장 많은 경로
프로젝트 조직
전사적 운영 조직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 전사 차원에서 프로젝트 생성, 진행 과정의 모니터링, 프로젝트 단위 리스크 해결 지원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
- 프로젝트 성과 관리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팀 구조
집중형(Centralized) 팀 구조
프로젝트 관리자를 중심으로 함
분산형(Decentralized) 팀 구조
모든 팀 구성원이 의사소통함
계층형(Hierachical) 팀 구조
집중형 팀 구조와 분산형 팀 구조 방식을 혼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