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페이지에 출력console창에 출력알림창으로 출력입력창을 통해서 값 입력확인 및 취소를 이용한 입력var : 재선언o ,재할당olet : 재선언 불가능, 재할당oconst : 재선언 불가능, 재할당 불가능== vs =====는 변수의 값만 비교하며, ===는 자료형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프로그래밍에에사용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 놓은 기능과 변수의 집합 프로그래머가 개발의 주체이고 라이브러리는 도구이다.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와 비슷하지만, 기능만 가져다 쓰는 것이 아닌 미리 만들어 놓은 틀까지 지켜서 사용해야 하는 것
반복되는 코드를 하나로 묶어서 모듈화 -> 컴포넌트로 만들어준다.내가 원하는 코들르 묶어서 마치 하나의 태그처럼 사용 반드시 컴포넌트는 대문자로 시작해야한다. \-기본 HTML 태그 (DOM 요소)와 구분을 하기 위함 expory 0 import 는 필수!!Pro
컴포넌트 내부에서 관리되는 변경이 가능한 데이터변수와 다른 점? state는 값 변경 시 화면에 바로 렌더링 됨JS에서 값이 변하는 과정은 항상 마지막에 화면 렌더링이 필요함State와 변수의 차이점state는 일반 변수와 다르게 값이 변하면 화면이 렌더링된다.이 때,
배열의 값을 다루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배열에만 사용 할 수 있다.주어진 함수를 호출한 결과를 모아서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는 함수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서 주어진 함수의 결과 값이 true인 요소들만 모아서새로운 배열로 반환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Context API 일일이 props를 넘겨주지 않고 컴포넌트 트리 전체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방식
특정 DOM 요소에 접근ex) 포커싱, 속성변경div요소를 DOM으로 접근하고 싶다면?(1) div요소에 달아줄 Ref 이름 지정 -> divRefconst divRef = useRef()\*\* useRef 자동완성 -> importO(2) div요소에 만들어준 Re
State 사용 불가useState로 사용해야함Life Cycle 사용 불가State 사용 가능Life Cycle 사용 가능컴포넌트의 생성(Mount)부터 변화(Update), 소멸(UnMount)까지의 전 과정컴포넌트 생성Constructor컴포넌트의 render()

사용자가 요청한 URL에 따라 해당 URL에 맞는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React는 SPA이지만 눈속임으로 페이지를 이동하는 것 처럼 보여주는 것브라우저의 주소를 감지한다필수적으로 사용라우팅 기능을 사용할 컴포넌트 전체를 감싸줘야 한다index.js에서 을 감싸는 방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