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 운영체제 6주 학습 계획 🔥
💡 1주차 (Chapter 01~03) 정리
1-1) 컴퓨터 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
문제 발생시 스스로 빠른 진단과 해결이 가능한 개발자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개발시 성능, 용량, 비용을 고려하는 개발자가 될 수 있다!
1.2)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
컴퓨터 구조의 두 갈래
-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 데이터, 명령어
- 컴퓨터의 네가지 핵심 부품 :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 +시스템 버스를 통해 이 부품들이 정보를 주고받음)
2-1)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컴퓨터가 이해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 비트 ( n비트는 2ⁿ가지 정보 표현 가능)
8bit= 1byte -> 1000byte = 1kB -> 1000kB = 1MB -> 1000MB = 1GB ...
이진수의 음수 표현 : 여러 방법(ex.2의 보수)들이 존재함
2의 보수 : 모든 0과 1을 뒤집고 거기에 1을 더하기
이진수로 변환하기 쉬운 십육진수도 많이 사용됨
2-2) 0과 1로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
문자 집합의 문자를 인코딩하여 0과 1로 표현 가능
인코딩 방식은 다양함. 기본적인 아스키코드, 한글을 완성형으로 인코딩할 수 있는 EUC-KR, 여러 나라의 문자를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는 유니코드 등...
✅ 기본 숙제
✅ 추가 숙제
스택과 큐 모두 컴퓨터 공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저장공간의 역할을 하는 자료구조의 일종이다.
둘 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는 구조지만, 데이터를 꺼내는 순서에서 큰 차이가 있다
📌 스택과 큐 비교
항목 | 스택 (Stack) | 큐 (Queue) |
---|---|---|
구조 | 한쪽 끝 | 양쪽 (넣는 쪽, 꺼내는 쪽) |
순서 | 후입선출 (LIFO) | 선입선출 (FIFO) |
주요 연산 | push, pop, peek | enqueue, dequeue, peek |
사용 예시 | 함수 호출, 되돌리기 | 프린터 대기열, 프로세스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