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드 밸런싱은 지원하는 리소스 풀 전체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균등하게 배포하는 방법이다.부하(=로드)를 분산(=밸런싱)해 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말한다. L4 로드밸런서와 L7 로드 밸런서가 존재한다.📌 L4 로드 밸런서와 L7 로드밸런서 비교
| L4 로드 밸런서 | L7 로드 밸런서 | |
|---|---|---|
| 네트워크 계층 | Layer 4 전송 계층 | Layer 7 응용 계층 |
| 특징 | TCP/UDP 포트 정보를 바탕으로 함 | TCP/UDP 정보는 물론 HTTP의 URL, FTP의 파일명, 쿠키 정보 등을 바탕으로 함 |
| 장점 | - 데이터 안을 들여다보지 않고 패킷 레벨에서만 로드를 분산해서 속도가 빠르고 효율이 높음 - 데이터 내용을 복호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전함 - 가격이 저렴함 | - 상위 계층에서 로드를 분산하기 때문에 훨씬 더 섬세한 라우팅이 가능함 - 캐싱 기능을 제공함 -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사전에 필터링 할 수 있어 서비스의 안정성이 높음 |
| 단점 | - 패킷의 내용을 살펴볼 수 없어 섬세한 라우팅이 불가능함 - 사용자의 IP가 수시로 바뀌는 경우라면 연속적 서비스 제공 불가 | - 패킷의 내용을 복호화해야 하기 때문에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함 - 클라이언트가 로드밸런서와 인증서를 공유해야 하기 때문에 공격자가 로드밸런서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에 접근할 보안 상의 위험 존재 |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상 그룹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로드 밸런서는 대상 그룹에 대해 지정한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를 사용해 등록된 대상으로 요청을 전송하거나 대상 그룹에 각 대상을 등록할 때 포트를 재정의할 수 있다.
EC2의 목록에서 로드 밸런싱->대상 그룹으로 이동한다.

인스턴스, IP Address, Application Load Balancer를 선택할 경우 VPC를 기준으로 타깃을 입력하며 포트 번호와 프로토콜 방식을 입력 및 선택해 주어야 한다.
대상 그룹 생성을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타깃들을 선택한 대상 그룹이 생성되어 목록에 뜨게 된다.
로드 밸런서 생성으로 가게 되면 세 가지의 로드 밸런서 유형이 뜨게 되고 그 중 생성을 원하는 로드 밸런서 유형을 선택해야 한다. Application Load Balancer를 선택해 주었다. 📌 로드 밸런서 유형
1)Network Load Balancer
- IP 대역에서 Load Balancer를 하기 위해서는
Network Load Balancer를 사용한다.전송 계층 (TCP/SSL)에서 라우팅을 결정한다. (4 Layer)유동적인 IP(Elastic IP)만 있는 서비스를고정 IP(Static IP)로 사용이 가능하다.
2)Application Load Balancer애플리케이션 계층 (HTTP/HTTPS)에서 라우팅을 결정한다. (7 Layer)- 경로 기반 라우팅을 지원한다.
- 단순 부하 분산뿐만 아니라 HTTP의 헤더 정보를 이용해 부하 분산을 실시한다. HTTP의 헤더 값을 보고 이 요청을 어느 대상 그룹에 보낼지를 판단할 수 있다.
SSL 인증서를 탑재할 수 있어 대상 그룹의 EC2를 대신해SSL 암호화와 복호화를 대신 진행할 수 있다.
3) Gateway Load Balancer방화벽,침입 탐지 및 방지 시스템,심층 패킷 검사 시스템과 같은 가상 어플라이언스를 배포, 확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투명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결합하고, 수요에 따라 가상 어플라이언스를 조정하면서 트래픽을 분산한다.
오픈 시스템 상호 연결(OSI) 모델의 세 번째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한다.
참고: https://aws-hyoh.tistory.com/128

Load Balancer의 이름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내부(Internal)을 외부와 연결되는 로드 밸런서라면 인터넷 내부가 아닌 인터넷 경계(Internet-facing)을 선택해 주면 된다.
VPC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VPC를 입력해 주어야 어디에 ELB를 연결할지 지정되기 때문이다. 
HTTP면 HTTP로 SSL 인증서가 있어 HTTPS를 인증한다면 HTTPS를 선택하면 된다.Default action에 이전에 생성해 두었던 대상 그룹을 추가해 주면 된다. 다만 대상 그룹을 새로 생성하기를 원한다면 하단에 대상 그룹 생성을 누르면 된다.
HTTPS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인증서를 입력하는 항목이 생기게 되고, ACM을 통해서 발급받은 SSL/TLS 인증서를 등록해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