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DS를 AWS 홈페이지에서 검색해 접속해 준다.RDS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 버튼이 페이지에 뜬다.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눌러 준다.
표준 생성의 경우 직접 모든 구성 옵션을 지정한다.손쉬운 생성의 경우 AWS에서 권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옵션으로 자동 세팅이 된다. 이후 변경을 원하는 구성 옵션은 생성 후 변경 가능하다.
RDS는 다양한 엔진 옵션을 제공한다.Aurora, MySQL, MariaDB, PostgreSQL, Oracle, MicroSQLServer를 제공하며 Oracle과 MicroSQLServer는 별도의 라이센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비용도 같이 청구가 된다.

마스터 사용자 이름을 설정해 주고 이 과정에서 마스터 암호 역시 생성해 준다.
인스턴스의 구성을 설정해 준다.범용 인스턴스가 주인 스탠다드 클래스와 메모리 최적화 인스턴스가 주인 메모리 최적화 클래스 중 선택이 가능하다.
프리 티어를 선택했다면 다음과 같이 범용, 메모리 최적화 인스턴스를 선택할 수 없고 버스터블 클래스인 T 클래스의 인스턴스만 선택 가능하다.
스토리지 유형은 사양에 따라 설정 가능하다.
EC2의 리소스와 연결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EC2를 선택할 수 있다.
VPC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VPC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후에는 변경이 불가능하며 VPC가 존재하는 경우 선택 가능하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 default VPC로 설정된다.
RDS 접속을 원할 시 퍼블릭 액세스를 예로 해 주어야 클라이언트 Tool에서 접속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인증 방법을 선택해 준다.암호 인증을 사용하면 암호로만 인증이 가능하고 암호 및 IAM 데이터베이스 인증을 선택하면 IAM 사용자 및 역할을 통해 데이터 암호와 사용자 자격 증명으로 인증한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통해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완료해 준다.사용 가능 상태가 되면 데이터베이스 생성이 완료된 것이다.Public이라면 바로 액세스가 가능하지만 Private라면 SSL과 같은 별도의 인증 요소로 연결해야 한다. 보안 그룹->인바운드 규칙 편집에서 MySQL의 3306 포트가 0.0.0.0/0로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없을 경우 추가해 준다. 특정 IP에서만 접속하고 싶은 경우는 특정 IP를 지정해 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