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들으면서 강사님께서 말씀하시길 ...
예외처리를 하다보면 정말 많은 조건문들이 생기는데...
조건문이 많아지면 가독성이 정말 떨어진다고...
물론 변수명을 잘 작성해야 하는 것도 있지만
조건문을 쓰다보면 코드가 들여써지기는 당연하니...
코드의 실루엣? 모양? 라인? 이 이뻐야 코드도 보기 좋지 않은가...
let isUserLoggedIn = true; // 사용자 로그인 상태
let isUserHasPermission = false; // 사용자 권한 상태
let isUserRoleValid = true; // 사용자 역할 유효성
if (isUserLoggedIn) {
if (isUserHasPermission) {
res.status(200).json({ message: "사용자는 로그인되었고 권한이 있습니다." });
}
if (!isUserHasPermission) {
res.status(403).json({ error: "사용자는 권한이 없습니다." });
}
if (isUserRoleValid) {
res.status(200).json({ message: "사용자의 역할이 유효합니다." });
}
if (!isUserRoleValid) {
res.status(400).json({ error: "사용자의 역할이 유효하지 않습니다." });
}
}
if (!isUserLoggedIn) {
res.status(401).json({ error: "사용자가 로그인되지 않았습니다." });
}
.status()
가 지저분 하다...let isUserLoggedIn = true; // 사용자 로그인 상태
let isUserHasPermission = false; // 사용자 권한 상태
let isUserRoleValid = true; // 사용자 역할 유효성
if (isUserLoggedIn) {
if (isUserHasPermission) {
if (isUserRoleValid) {
res.status(200).json({ message: "모든 조건이 참입니다. 사용자에게 접근을 허용합니다." });
} else {
res.status(400).json({ error: "사용자의 역할이 유효하지 않습니다." });
}
} else {
res.status(403).json({ error: "사용자에게 권한이 없습니다." });
}
} else {
res.status(401).json({ error: "사용자가 로그인되지 않았습니다." });
}
.status()
들 만 존재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