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boostcourse>
에서 수강한 강의를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자비로운 종신 독재자 : 파이썬의 개선 사항(PEP)에 대한 최종 의사 결정자
플랫폼 = OS
플랫폼에 독립적이다 = OS에 상관 없이 한번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사용 가능
인터프리터 = 통역기를 사용하는 언어를 가리키는 말로, 소스코드를 바로 실행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프로그램 실행 방법을 말함
작성한 코드가 OS에서 작동하기 위해서는 해석을 해주어야한다. 해석을 해주는 프로그램을 인터프리터라고 함. 각 운영체제에 맞는 인터프리터를 설치해서 번역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적절한 인터프리터가 설치되어있다면 파이썬 언어는 돌아간다라는 특징을 가짐.
요즘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도 파이썬이 실행되어야하는데, 디바이스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아도 돌아갈 수 있는 언어다.
이전에는 컴파일 언어를 주로 사용했다. 요즘에는 컴퓨터의 속도가 빨라졌기 때문에 인터프리터 언어가 많이 사용된다.
객체 지향적 언어
: 실행 순서가 아닌 단위 모듈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작성
<-> (C같은 경우) 프로시저 언어 : 순서대로 실행되는 방식
동적 타이핑 언어
: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시점에 프로그램이 사용해야할 데이터에 대한 타입을 결정함
*동적: 실행시점에 어떤 동작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