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세팅
2) 댓글 CRUD 기능구현
3) 댓글기능 리팩토링
4) 북마크 목록페이지
5) 사용자 정보 불러오기(북마크페이지)
6) 북마크목록 리팩토링
1. 개발 프로세스
1) 댓글 CRUD

2) 북마크 목록 페이지

2. 프로젝트 평가
7점 / 완성된 웹페이지 결과물은 각자 맡은 역할을 충실히 하여 완성도 높게 만들어진 것 같다.
프로젝트 초반 잦은 회의 누락으로 팀원들과 상의하고 결정지어야 하는 부분들이 역할을 맡은 개인이 결정짓게 되면서 부분부분 수정이 필요한 부분들이 시간 부족으로 반영되지 못하여 아쉬운 부분들이 많이 남은 프로젝트였습니다.
3. 느낀점
: 리액트 심화주차 팀 프로젝트를 통해 느낀점
1) 댓글CRUD
작성자 닉네임을 불러오는 과정에서 comments와 zustand로 불러온 로그인한 users 내용을 이용하여 닉네임을 불러와야 프로필 닉네임 변경 시 반영이 되는데, comments에 닉네임 값을 추가하면서 닉네임 변경 시 반영되지 않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많이 겪었습니다.
2) 북마크 페이지
db.json파일에 두 가지 게시글 형태가 분리되어 있어 한 페이지에 하나의 형태로 불러오는 과정에서 db.json파일의 한계점을 많이 느꼈습니다.
3) 전체 프로젝트
개발자들에게 소통능력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팀프로젝트였습니다.
4. 평가
1) 프로젝트 평가 받은 내용
아쉬웠던 부분
코드 컨벤션이 보다 구체화 되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피드백
- 전제적인 구조, 디렉토리 구조, 코드 컨벤션 등 부분이 아쉽다.
- API 설계는 잘했다고 생각한다.
- 내부적인 관리해야하는 DB를 많이 써서 구조적인 고민을 많이 했고, 그 경험은 중요하다.
- API 탐구를 해볼 수 있음. (chatGPT, 챗봇 등)
- 다른 팀과의 차별점을 가져갈 수 있어야 함. 기술 선택의 이유를 명확히 했으면 좋겠다.
- 수많은 시도들을 통해서 라이프 사이클과 렌더링 기법을 배워나갔다고 믿고,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메모이제이션 기법을 알아야합니다.
- 쓰로틀링과 디바운싱을 사용한 것은 좋은 선택이였다.
- 라이브러리 쓰지말고 직접 구현하면 머리속에 남아 있다.
2) 회고
- 팀원들과 첫 만남 후에 팀 규칙을 구체적으로 정할 것
: 소통방식에 대한 규칙 정하기, 이를테면 주말이나 공휴일도 각자 젭 출석가능시간 또는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공유하기
- 회의에 참석하지 못한 인원이 있을 경우 팀노션이나 슬랙으로 공유하기
- 아무리 다른 담당자의 부분에서 문제를 발견해도 해당부분에 대한 담당자가 확답을 주지 않으면 다른 사람의 코드는 절대 건드리지 말 것
- 말 예쁘게 하기. 언성이 높아지면 대화를 중단하고 이후에 재시작하거나 채팅으로 대화하기
소통에 대한 중요성을 많이 느꼈던 팀프로젝트로 관련 회고내용으로 마무리 하게 된....
잘보고가요 ~~ 커피 한잔 때리고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