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가 생기면 브라우저의 console창을 열어 어떤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해보라는 말씀을 많이 들었다.보고 vscode로 돌아가서 작성한 코드에서 값들을 잘 불러오고 있는지 console.log()를 사용하여 확인을 한다.이때 잘 보이기 위해 console.log("
리액트 심화 주차에서 '인증/인가'에 대한 내용을 다루면서 Thunder Client라는 익스텐션을 설치하여 API 테스트를 해볼 수 있었다.오늘 내용은 해당 익스텐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HTTP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데 필요한 모든 기능을 가지는 툴.API 테
'rafce'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기본형식이 쓰여지는 것처럼,Next.js에서 여러 스니펫을 입력하면 각 파일별로 원하는 형식을 쓸 수 있다.등의 여러 형식 스니펫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