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3 회고

star_pooh·2025년 1월 13일
0

회고

목록 보기
29/30

1. 한 일

  • 프로젝트 명: 404 Not Delivered

  • 팀 작업 내용

    • 배달의 민족을 모방한 배달 애플리케이션 아웃소싱

2. Keep

1) 협업 내용 정하기

IDE 세팅을 비롯한 다양한 코딩 컨벤션(변수 및 메소드명, 인덴트 사이즈 등....)과
깃 커밋 메시지, 브랜치 전략 등을 사전에 정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일관성 있게 
진행할 수 있었던 것 같다.

2) 원활한 의사소통

의사소통하는데에 약 이틀을 사용할 정도로 많은 의사소통을 해서 시간이 모자를 줄 알았는데,
오히려 프로젝트 후반에 강점을 발휘해서 빨리 끝낼 수 있던 요소로 작용한 것 같다.

3) PR을 자주 작성하기

브랜치 전략은 작은 기능 단위로 가져가면서 PR 및 코드리뷰를 할 상황이 많이 발생했는데,
리뷰어의 시간이 적게 소모되고 기능 사용이 익숙해져서 좋았다.

4) 팀원 간 구현 내용 공유

각자 맡은 부분만 구현한 다음에 합치고 끝!이 아니라 각자 구현한 부분을 서로에게
설명하고 질문을 하는 식으로 프로젝트 전체의 흐름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

3. Problem

1) 패키지 네이밍 실수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잘못 만들어서 추후에 리팩토링을 하려고 했더니
예상치 못한 부분에 많은 에러가 발생했다. 처음부터 신경써서 제대로 만들어야겠다.

2) 성능 개선 미반영

중복 코드 및 미사용 코드, DB에서의 데이터 조회 등에 대한 코드들이 성능 개선을 
할 수 있는 부분이 남아있는 채로 마무리 했다. 조금 더 효율적이면서 빠른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고민을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4. Try

1) Docker를 사용한 환경설정 제공

환경설정을 통일할 수 있고,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해서 환경이 꼬이더라도
재설정하는데 큰 리소스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해보면 좋을 것 같다. 

2) AOP를 통한 중복코드 제거

AOP와 커스텀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면 인가, 로깅과 같은 중복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독성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3) CI/CD 적용하기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서버 담당자가 직접 배포를 진행해서 공백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코드 컨벤션 및 테스트 정상 작동, 서버 자동 배포 등 리소스를 아낄 수 있는 CI/CD를 적용해 보면 좋을 것 같다.

5. Feel

  • 강세민
    팀장으로서 부족했던 모습이 많았을 것 같은데 팀원 분들이 모두 좋은 분들이고
    각자 맡은 바를 생각 이상으로 너무 잘들 해주셔서 즐겁게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다.

  • 김형준
    서버 배포를 준비하느라 전체적인 작업 흐름에 개입을 하지 못했던 게 아쉬웠다.
    API 문서를 짜며 팀원들의 코드 자체와 각각의 흐름을 눈에 익힐 수 있었지만, 이를 어느 정도 늦은 타이밍에 알아챘기에 개입할 여지가 적었다.

    Github Actions를 통한 CD를 구현은 했지만 적용해보지 못한 게 아쉬웠다.
    그래도 의사소통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봤던 점, 서버 캐시를 사용하는 방식들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던 점, 팀원들의 코드를 이해할 확실한 방법을 익혀봤던 점이 좋았다고 생각한다.

  • 임희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려운 점이 있을 때마다 팀원들과 의견 교환 및 공유를 통해 많이 배울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었다.

  • 최원준
    동료들이 참조할 엔티티와 기능을 빠르게 만들고 코드의 일관성 유지와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했다.
    협업 도구와 함께 메모장과 스티커 노트 등으로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이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새로운 기술은 빠르게 쓰고, 기존 도구와 기술은 꼼꼼하게 관리하도록 해야겠다.

  • 홍은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던 가장 큰 이유는 원활한 의사소통이라고 생각한다.
    의사소통을 나누며 모자란 부분, 더 알게 된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의사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 되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