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REACT 입문 - 1일차

Apeachicetea·2021년 10월 21일
0

REACT 입문

목록 보기
1/9

JSX

  1. 클래스는 className으로 바꿔준다.

  2. 데이터바인딩시 { 변수명, 함수 등 } 중괄호 사이에 넣어주면 된다.

  3. CSS 속성을 직접 활용할 때는 객체 형태의 데이터로 입력해 준다.

    예시. { color : 'blue', fontSize : '30px' }

  4. CSS속성을 직접 활용 시 '-'이 있다면 Javascript 연산자 - 와 혼동할 수 있기때문에
    camel표기법으로 표시해준다.

    예시. font-size -> fontSize


State

State란?

  1. 변수 대신 쓰는 데이터 저장공간
  2. useState()를 이용해 만들어야함.
  3. 문자, 숫자, array, object 다 저장 가능
  4. 사용시 App.js 상단에 import { useState } from 'react';작성한다.
    (리액트 안에 내장함수 useState를 불러오겠다라는 의미)

state에 데이터 저장해놓는 이유

웹이 App처럼 동작하게 만들고 싶어서
state는 변경되면 HTML이 자동으로 재렌더링이 된다.
(새로고침 없이도 HTML에 렌더링됨.)


useState()

구조분해

구조 분해 할당 구문은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체하여 그 값을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JavaScript 표현식

예시

let [a, b] = [10, 100];
a = 10;
b = 100;

useState 활용 예시


버튼 & 이벤트 활용하기

사용법

onClick= { 실행할 함수명 }
onClick= { () = > { 실행할 내용 } }

Deep copy

state에 있는 배열을 구조분해 문법을 활용해 deep copy를 한 후,
복사된 새로운 배열에 변경사항을 적용해 준다.
마지막으로 state변경함수에 넣어준다.


참고 : 코딩애플


profile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